꿈의 ‘양자컴퓨터’ 기초 닦은 3명에 노벨 물리학상

입력 2022-10-05 04:05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상위원회가 4일(현지 시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2022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를 발표하고 있다. 화면 왼쪽부터 알랭 아스페, 존 클라우저, 안톤 차일링거 공동수상자 3명의 사진이 보인다. 연합뉴스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양자역학 분야 연구자인 알랭 아스페(75·프랑스) 프랑스 에콜폴리테크니크 교수, 존 클라우저(80·미국) 미국 존 클라우저 협회 창립자, 안톤 차일링거(77·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빈대학 교수에게 돌아갔다. 이들은 ‘꿈의 컴퓨터’라 불리는 양자컴퓨터 개발의 기초를 세운 연구자들로 평가된다.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 노벨위원회는 4일 이들에게 노벨 물리학상을 수여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얽힘이 있는 광자(entangled photons)’ 실험을 통해 ‘벨 부등식 위배(Bell inequality violation)’를 확인해 양자정보과학의 새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노벨물리학상 평가위원회는 “새로운 형태의 양자기술이 떠오르고 있다. 이번 수상자들은 양자 얽힘의 굉장히 중요한 부분을 밝혀냈으며, 이는 양자정보과학의 근본적 원리에 대한 해답”이라고 평가했다. 이들의 연구는 양자컴퓨터, 양자 암호 통신 등을 가능케 하는 연구로 평가된다.

세 사람은 줄곧 유력한 수상 후보로 지목돼 왔다. 2010년 이스라엘의 울프 재단이 수여하는 울프상(Wolf Prize)의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하기도 했다. 국내 학계에선 “받을 연구자들이 받은 것”이란 평가다.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는 올해까지 모두 221명이다. 최초의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는 X선을 발견한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독일)이었다. 가장 유명한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으로 ‘상대성 이론’이 아닌 빛의 입자성을 규명한 공로로 수상했다.

노벨상 상금은 1000만 크로나(약 13억원)이며, 이번 수상자 3명은 상금을 나눠 받게 된다. 노벨위원회는 5일 화학상, 6일 문학상, 7일 평화상, 10일 경제학상 수상자를 발표한다. 3일에는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의 진화인류학 책임자 스반테 페보(67) 박사를 선정했다.

시상식은 노벨의 기일(12월 10일)을 낀 ‘노벨 주간’에 스웨덴 스톡홀롬에서 열린다.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 행사로 대체됐던 2020년과 2021년의 수상자들도 참석할 예정이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