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1 지방선거에서 새롭게 선출된 공직자 814명의 가구당 평균 재산은 15억9162만원으로 나타났다. 조성명 서울 강남구청장이 527억 7607만원으로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9일 광역·기초 지방자치단체장과 시·도 교육감, 광역의회 의원 등 신규 선출직 공직자의 재산등록사항을 공개했다. 이들의 배우자·부모·직계 존비속을 포함한 가구당 평균 재산은 15억9162만원이었다. 광역단체장은 평균 22억8400만원, 교육감은 10억6400만원, 기초단체장은 25억68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본인 명의 서울 마포구 아파트 전세권 8억5000만원과 경기도 수원의 오피스텔 전세권 500만원, 배우자 명의 서울 강남구 아파트 16억4600만원 등 모두 38억911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이는 지난 2월 대통령 후보 재산 등록 당시 신고한 40억5354만원에서 1억6000여만원 감소한 금액이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본인 명의 서울 송파구 아파트 21억4736만원과 대구 수성구 아파트 전세권 5억9000만원 등 모두 40억9627만원을 신고했다. 김진태 강원지사가 41억3911만원으로 전체 광역 단체장 중 가장 재산이 많았다.
전체 공개대상자 중 재산이 가장 많았던 조 구청장은 본인·배우자 명의로 서울 강남·서초구, 경기 양평, 인천 강화·옹진군, 충북 보은군, 충남 당진, 경남 함양군에 전·답·임야·대지·도로·제방 등 131억9580만원의 토지를 보유했다. 역시 본인·배우자 명의로 서울 강남구의 한 아파트 31억5000만원과 서울 강남·서초구 복합건물, 경기도 고양의 오피스텔·근린생활시설·의료시설, 인천 강화군의 숙박시설 등 361억2435만원의 건물을 신고했다. 전체 527억여원의 재산 가운데 493억원 가량이 부동산 자산이다. 이어 김성수 경기도의회 의원(271억4014만원), 오태원 부산 북구청장(226억6765만원) 순이었다.
초선 가운데에선 재산 신고 오류도 잇달았다. 서울시의원 중 1·2위를 차지했던 최진혁·이병윤 의원(국민의힘)은 각각 201억2094만원, 130억2399만원을 신고했다. 그러나 최 의원은 1000원 단위로 끊어 신고하는 대신 원 단위 그대로 입력하는 바람에 충남 보령 조부 소유 토지 1061㎡를 실제 공시지가(2015만9000원)보다 1000배 많은 201억5900만원으로 신고했다. 이 의원도 토지(115억1119만원)에 대해 “10억원이 조금 넘는 땅인데 신고할 때 실수로 0을 하나 더 붙인 것 같다”고 해명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