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서비스 영역을 침해했다며 행정안전부로부터 폐지 권고를 받은 전북 군산시 공공배달앱 ‘배달의 명수’가 운영 주체가 바뀌어 계속 운영된다.
28일 군산시에 따르면 ‘배달의 명수’의 운영과 관리 권한을 시 출연기관인 군산상권활성화재단으로 넘겨 서비스를 유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군산시는 최근 시의회와 협의를 마치고 2023년 배달의 명수 앱 운영비로 3억6000만원을 책정했다. 업무 이관이 끝나면 상권활성화재단이 민간업체와 연 단위 계약을 맺어 가맹점과 서비스 관리, 고객센터 운영 등을 맡게 된다. 재단은 11월 중 운영사를 선정하고, 내년 4월부터 온라인 쇼핑몰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앞서 군산시는 행정안전부와 감사원으로부터 배달의 명수 앱 폐지 권고를 받았다. 감사원은 배달의 명수를 ‘수원 e택시’ 등과 함께 민간서비스 침해 정비 대상으로 선정했다.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개발·운영하는 공공배달앱이 공공데이터법을 위반, 민간의 서비스 영역을 침범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군산시는 배달의 명수의 성과가 큰 상황을 감안해 공공기관이 아닌 출연기관을 통해 이 사업을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지자체가 설립하고 그 운영에 관여하는 기관은 공공데이터법 적용 대상이 아니다”며 “운영·관리 전반을 넘겨 더욱 알차게 운영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2020년 3월 민간 배달앱의 독과점에 맞서 전국 최초로 선보인 배달의 명수는 올해 8월 말 기준 가입자 수 13만 8090명, 누적 매출액 215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만족도 조사 결과 응답자의 96.2%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