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이 자행한 암매장 전모를 규명하기 위해 범정부 합동조사기구가 출범한다. 법무부와 광주시 등 6개 기관이 참여해 5·18 관련 행방불명자가 묻혀 있을 가능성이 제기된 장소를 선별해 전방위 조사에 나선다.
5·18 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법무부, 검찰·경찰, 광주시 등과 함께 5·18 행불자 암매장 문제를 전담하는 가칭 ‘합동실무회’를 설치해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고 28일 밝혔다. 첫 회의는 29일 열린다. 광주지검, 광주북부경찰서,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이 참여한다.
조사위가 주축이 될 합동실무회는 2019년 옛 광주교도소에서 발견된 160여기의 유골 더미에 뒤섞였다가 유전자정보(DNA) 검사에서 5·18 행불자 유족과 99.9% 일치한 것으로 최근 확인된 유골 1기를 포함한 기존 행불자 명단을 토대로 5·18 직후 사라진 이들의 생전 행적조사를 벌인다. 우선 군 관련 기록의 비교 분석 등 사망·암매장 여부에 대한 정밀조사를 거쳐 유전자 일치 행불자 1명의 구체적 신원과 사인을 특정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합동실무회는 다음 달 6일까지 ‘5·18 암매장 제보내용의 선행조사와 유해 조사·발굴용역’을 수행할 전문기관 공모에도 나선다. 용역 수행기관은 광주시와 5·18기념재단이 그동안 제보받은 암매장 유력 장소 53곳 중 30곳을 가려 11월 말까지 선행조사를 진행한다. 암매장 정황이 드러나면 신속한 동시다발적 발굴작업도 병행하게 된다.
국과수는 옛 광주교도소에서 발견한 유골 160여기 가운데 DNA 검사를 받지 않은 100여기와 추가 확보한 행불자 유족 유전자가 일치하는지를 검증하는 감식 작업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최종 감식결과는 11월 말에나 나올 예정이다.
조사위 관계자는 “DNA가 확인된 유골은 화순 출신인 염모씨로 추정되며, 유골 중 대퇴부 일부만 발견한 상황”이라며 “고인을 예우하기 위해 발견한 1800여개 뼛조각 중 나머지 유골을 찾아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내려 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