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교육청·전교조, 강원지역 초·중생 학력평가 놓고 격돌

입력 2022-09-28 04:04
강원도교육청 전경.

강원도교육청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강원학생성장 진단평가 시행 여부를 놓고 격돌하고 있다.

도교육청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교육격차를 해소하고 학력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11월에 강원학생성장 진단평가를 시행한다고 27일 밝혔다. 강원학생성장 진단평가는 신경호 강원도교육감의 제1공약이다.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은 국어·수학, 초등학교 5~6학년과 중학교 2~3학년은 국어·영어·수학 세 과목을 평가한다.

도교육청은 진단평가 시행에 앞서 최근 학생과 학부모, 교사 등 1만2375명을 대상으로 ‘학생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평가 도구의 필요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했다. 그 결과 학부모의 81%, 교사 74%, 학생의 40%가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강원도형 학업성취도 평가의 필요성에는 학부모 72%, 교사 44%, 학생 33%가 찬성했다.

반면 지난 22일 전교조 강원지부가 발표한 설문조사에서는 진단평가 관련 설문에 응한 교사(728명)의 67.3%가 강원학생성장 진단평가의 필요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답했다. 같은 진단평가를 두고 상반된 결과가 나온 것이다.

전교조는 도교육청의 설문조사 결과에 대해 “강원교육에 모멸감을 안긴 여론조작 수준의 설문조사”라고 반발했다. 전교조는 “‘평가 도구가 필요한가, 안 필요한가’와 같은 똑같은 질문을 집요하게 되풀이하는 설문을 해놓고 ‘진단평가에 찬성하는 의견이 우세하다. 필요성이 분명해졌다’고 자화자찬하는 도교육청의 입장은 차마 보기 안쓰럽다”며 “교육과정 파행을 불러일으킬 일제고사의 부활을 반드시 저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원교육은 진보성향의 민병희 전 교육감과 전교조가 맺은 단체 협약 때문에 지난 10여년간 초등 진단평가와 중간·기말고사, 중학교 1학년에 대한 시험을 치르지 못했다. 또 협약에는 교육청이 주관하는 학력고사를 금지하며, 평가 결과를 학교 간 비교 자료로 활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이 담겼다.

전교조는 이 협약에 따라 11월 진단평가를 하지 말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에 도교육청은 교사와 학부모, 학생 등 구성원의 의견을 반영해 희망하는 학교만 진단평가를 시행하겠다는 입장이다.

심영택 도교육청 더나은교육추진단 장학관은 “지난 12년간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의 학력 수준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평가를 하지 못했다”며 “이번 진단평가는 전교조가 우려하는 줄 세우기가 아니다. 학생들의 정확한 학업 성취도를 파악해 더 나은 학력 향상을 위한 교육정책을 펴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춘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