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 유엔총회를 계기로 성사된 한·미, 한·일 정상회담을 통해 외교적 현안 해결의 돌파구를 마련할 것이라는 기대가 현실화되지 못했다.
한국은 미국과는 한국산 전기차 보조금 제외 문제 등을 안고 있다. 일본과는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 등을 해결하지 못한 상태다. 한·미, 한·일 ‘연쇄’ 정상회담을 통해 문제 해결의 물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으나 기대 이하의 성적표를 받았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빈손 외교’라는 비판도 나온다.
윤석열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48초가량 손을 맞잡고 서서 대화를 나눴다. 이를 포함해 윤 대통령은 이날 두 차례 바이든 대통령을 만나 짧은 환담을 나눴으나 정식 한·미 정상회담은 성사되지 못했다.
윤 대통령은 또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30분 약식회담’을 가졌다. 윤 대통령이 기시다 총리가 참여한 행사장 빌딩을 직접 찾아가는 방식으로 회담이 성사돼 뒷말을 낳았다. 특히 한국은 ‘약식회담’이라고 밝혔지만 일본은 ‘간담(懇談)’으로 의미를 축소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뉴욕 시내에서 바이든 대통령 주최로 열린 ‘글로벌 펀드 제7차 재정공약 회의’에 참석했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윤 대통령은 참석 대상자가 아니었는데 이 회의에 초청됐다”고 전했다. 윤 대통령은 행사 종료 후 바이든 대통령과 48초 정도 대화를 나눴다.
윤 대통령은 이날 저녁 바이든 대통령 부부 주최로 열린 리셉션에 참석해 바이든 대통령과 한 차례 더 짧은 환담을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22일 현지 프레스센터 브리핑에서 “일종의 ‘플랜B’를 작동한 것”이라며 “바이든 대통령의 일정이 변경되지 않았으면 (회담 성사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으나 여의치 않았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국내 정치 이슈를 이유로 유엔총회가 열리는 뉴욕 체류 기간을 갑자기 하루 줄이면서 정식 회담 성사가 어려워졌다는 것이다.
다만,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이 최근 회동을 통해 바이든 대통령에게 한국산 전기차 보조금 제외를 규정한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대한 한국 내 우려를 전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미 행정부가 IRA를 집행하는 과정에서 우리 측 우려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미 간 긴밀히 협력하자”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바이든 대통령은 “한국 측 우려를 잘 알고 있다”면서 “한·미 간 계속해서 진지한 협의를 이어나가자”고 답변했다고 대통령실은 밝혔다.
외환·금융 시장 안정화를 위한 한·미 통화스와프도 우회적으로 논의된 것으로 보인다. 두 정상은 필요할 때 한·미 양국이 금융 안정을 위한 ‘유동성 공급장치’를 실행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과의 환담 직후 회의장을 나오며 “이 XX들”이라는 비속어를 쓴 장면이 고스란히 취재진 영상에 포착되면서 막말 논란을 초래했다.
이상헌 기자, 뉴욕=문동성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