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22일 국교위 위원 19명을 발표했다. 위원 21명 중 교원단체 추천위원 2명은 교원단체들의 합의 불발로 명단에서 제외됐다. 교육부 관계자는 “위원 대다수가 지명됐기 때문에 27일 국교위가 출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위원장은 이배용 이화여대 전 총장이 지명됐다. 이대 사학과 교수를 지낸 이 위원장은 박근혜정부 시절 중학교 역사·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참여했다. 더불어민주당 몫 상임위원인 정대화 한국장학재단 이사장도 정파성이 뚜렷하다.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실행위원, 총선시민연대 대변인, 대통합민주신당(더불어민주당 전신) 대표비서실장 등을 역임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자녀 입시 비리 의혹 국면에선 조 전 장관 측을 옹호하고, 김건희 여사의 연구윤리 위반 논란에서는 ‘저격수’로 활동했다.
국민의힘 몫 상임위원인 김태준 동덕여대 교수는 이명박정부 당시 국민경제자문회의 자문위원, 한국금융연구원장 등을 지냈다. 2015년 재·보궐 선거에서 인천 서구·강화을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 후보로 공천을 신청한 바 있다.
전·현직 교육감 4명도 이름을 올렸다. 조희연 서울교육감은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회장 자격, 강은희 대구교육감은 대통령 추천으로 위원이 됐다. 장석웅 전 전남교육감은 민주당, 김석준 전 부산교육감은 국회 비교섭단체 추천이다. 강 교육감을 제외한 3인은 친(親)전교조 인사다. 학교 현장 분위기를 잘 아는 현직 교사가 1명도 없는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한 교육계 관계자는 “전문성이나 정치적 중립성 등을 깡그리 무시하고 정치인들이 자기편으로만 채워 넣었다”며 “국민 의견 수렴이 아닌 진영 대결의 장이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 위원장은 “초기에는 생각이 다른 분들이 모여서 많은 토론과 의견수렴을 해야 할 것”이라며 “이를 총괄해서 가장 올바른 방향의 공통분모를 찾겠다”고 언론에 말했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