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싱크탱크’ 대구경북연구원, 31년 만에 분리

입력 2022-09-21 04:05
대구시청 산격동 청사 입구. 국민DB

대구와 경북의 싱크탱크 역할을 해온 대구경북연구원이 31년 만에 분리된다. 일부 반발도 있지만 대구시와 경북도는 각자 지역에 맞는 연구기관을 따로 구성해 관련 연구를 이어갈 방침이다.

대구시는 최근 경북도가 제안한 대구경북연구원 분리안을 전격 수용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구경북연구원은 1991년 대구권경제사회발전연구원으로 개원해 이름을 바꾼 뒤 31년 간 운영됐다. 시와 도가 함께 출자해 번갈아 원장을 임명하는 등 공동 운영했다.

대구경북연구원 분리 목소리는 경북도청의 경북 안동·예천 이전 후 지속적으로 나왔다. 관련 연구가 대구 쪽에 몰려 있고 경북 실정에 맞는 연구가 부족하다는 것이 이유였다. 도의회에서도 이 때문에 연구원 운영지원비 삭감을 놓고 신경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대구경북연구원 분리 움직임에 대구경실련 등 지역시민단체들과 노조는 반발했다.

민주노총 전국공공연구노동조합 대구경북연구원 지부는 시·도의 대구경북연구원 해산이 법률에 근거하지 않은 불법 행위라고 주장하며 대구시청 동인동 청사 앞에서 19일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다.

대구경실련도 대구경북연구원 분리를 반대하는 내용의 자료를 내 시와 도에 분리 철회를 요구했다.

시민단체와 노조 등이 반발하고 있지만 두 시·도는 대구경북연구원 분리 절차를 계속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는 가칭 대구정책연구원을 설립해 시정에 맞는 발전 전략을 모색하고 대구 미래 50년을 준비하는 시정전문연구기관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분리 절차는 연구원 해산과 설립을 병행해 연구공백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법인해산에 따른 구체적인 사항은 시·도 실무협의회를 통해 논의를 이어갈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20일 “행정안전부와의 협의를 통해 신규법인 설립에 따른 사전 행정적 절차를 간소화해 연구원 출범이 조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