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물가 10월 정점론’ 방어를 위해 민생물가 안정 총력전에 나선다. 배추 등 채소류를 조기 출하하는 한편 경유 유가연동보조금을 연말까지 3개월 연장한다.
정부는 19일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민생물가 점검회의를 열고 민생물가 분야별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추 부총리는 “10월 가을철 배추와 무의 본격 출하 등으로 공급 여건이 본격 개선되는 시점까지 수급 관리에 전방위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최근 가격이 높은 배추는 가을철 재배 정부 물량을 완전 생육 전에 조기 출하하고, 수출 김치용 배추를 예정보다 빨리 수입하기로 했다. 당초 10월 초에 들여오려던 배추 물량 600t을 이달 하순에 수입하기로 한 것이다. 추 부총리는 “11월 초 김장철에 접어든다는 점을 감안해 김장 주재료의 수급과 가격이 최대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다음 달 중 김장채소 수급 안정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라면 등 식품 가격 인상 움직임과 관련해서는 농림축산식품부를 중심으로 식품업계 가격 동향을 일일 모니터링하고, 업계와 가격 안정을 위한 협의를 진행할 방침이다. 추 부총리는 가공식품 업계를 상대로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인상 요인을 최소화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정부는 부당한 가격 인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현안 분야별로 담합 등 불공정행위 여부를 소관 부처와 공정거래위원회가 합동 점검할 계획이다.
경유 유가연동보조금은 연말까지 연장된다. 추 부총리는 “이달 말 종료 예정이던 경유 유가연동보조금을 올해 말까지 한시적으로 연장해 화물·운송업계의 부담을 덜어드리겠다”고 말했다. 경유 유가연동보조금은 경유 가격이 기준금액을 초과하면 초과분의 50%를 화물차·버스·택시 종사자에게 돌려주는 제도다. 유가 급등으로 소득이 줄어든 이들을 돕기 위해 올해 5월 1일부터 한시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현재 기준금액은 ℓ당 1700원이다.
이밖에 지방공공요금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행정안전부를 중심으로 지방자치단체와 적극 협조하는 한편 에너지 가격 변동성 확대에 대비한 대응 계획을 조속히 마련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추 부총리는 ‘물가 10월 정점론’에 한 번 더 힘을 실었다. 추 부총리는 “상황이 추가로 악화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늦어도 10월 이후에는 점차 물가 여건이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원·달러 환율이 요동치고 있는 점,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이 다시 상승세를 탈 수 있는 점은 변수다. 다음 달 전기·가스요금 인상폭도 물가에 영향을 미칠 주요 요인이다.
세종=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