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이 미국 뉴욕 유엔총회를 계기로 처음 열릴 한·일 공식 정상회담 개최 여부를 놓고 ‘진실게임’을 벌였다.
일본 언론들은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들을 인용해 한·일 정상회담 개최가 불투명한 상태라고 18일 보도했다. 그러나 대통령실은 “한·일 정상회담 개최는 변함이 없다”고 반박했다.
일본 산케이신문은 유엔총회를 계기로 개최가 논의됐던 한·일 정상회담이 열리지 않는 방향으로 조율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산케이신문은 특히 한국 정부의 한·일 정상회담 개최 합의 발표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고 한국 측에 항의했다고 전했다. 일본 외무성이 “신뢰 관계와 관련된다”면서 “사실에 근거하지 않는 발표는 삼가 달라”고 한국 측에 항의했다는 것이다.
산케이는 “일본 측은 이른바 ‘징용공’(일제 강제동원 노동자의 일본식 표현) 소송 문제에 진전이 없는 채 정상회담에 응하는 것에 대해 신중하다”면서 유엔총회에서 양국 정상이 짧은 시간 서서 이야기를 나눌 가능성은 있다고 전망했다.
마이니치신문도 “한국 정부가 개최한다고 발표한 한·일 정상회담은 일본 측이 신중한 자세를 굽히지 않아 실현이 불투명하다”고 보도했다. 마이니치신문은 한국 정부의 발표에 대해 일본 정부 내에선 ‘사실무근’이라는 반발이 나오고 있다면서 유엔총회에서 한·일 정상 간 만남이 이뤄지더라도 서서 이야기하는 정도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대통령실은 일본 언론의 보도를 부인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아직까지 파악하기로는 한·일 정상회담 일정을 계속 조율 중인 상황”이라며 “일정을 조율한다는 것 자체가 만남을 합의한 게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일각에서는 한국이 한·일 정상회담 개최 합의를 먼저 발표하는 바람에 감정이 상한 일본이 일종의 딴지를 거는 것 아닌가 하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정상회담의 경우 개최가 확정되면 양국이 동시 발표하는 것이 외교적 관례다. 하지만 대통령실이 유엔총회를 계기로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정상회담을 하기로 양국이 합의했다고 지난 15일 먼저 밝혔던 것에 대해 일본이 불만을 갖고 있다는 주장이다.
이상헌 김승연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