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13일 보호종료 후 홀로서기를 앞둔 자립준비청년들을 만났다. 윤 대통령은 “지금까지 우리 사회가 이 문제를 방치한 것은 아닌지 부모세대로서 부끄러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제 여건이 어려워 긴축재정을 한다고 해도, 이런 부분에 관해 쓸 돈은 딱 써 가면서 우리 자립준비청년의 미래 준비를 위해 정부도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충남 아산에 위치한 충남자립지원전담기관을 방문해 자립준비청년들의 고충을 들었다. 윤 대통령은 간담회에서 “사실 자립준비청년들의 문제점을 잘 몰랐다”고 털어놓으면서 지난해 성탄절을 앞두고 운동선수인 자립준비청년을 만났던 일을 꺼냈다.
윤 대통령은 “그 청년의 얘기를 들어보니까, (그동안 방침이) 18세가 딱 되면 별 준비 없이 돈(자립정착금) 500만원을 쥐어 주고 ‘사회에 나가서 니가 알아서 살아라’였다”면서 “그러니까 대부분 소식이 끊기고 관리도 안 되니 우리 사회에 정상적으로 적응할 수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국가가 목소리를 제대로 듣지 못하고, 너무 내팽개쳐져 있는 국민(자립준비청년)들이라는 것을 느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자립준비청년들에 대한 지원은 우리 미래를 위한 의무이자 배려”라며 “여기 있는 청년들의 능력과 열정에 국가가 좀 더 기회를 준다면 이들 모두 우리 사회의 소중한 인재로 성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지난달 자립준비청년들이 극단적 선택을 한 일을 거론하며 마음이 무겁고 무한한 책임을 느낀다고 밝혔다.
간담회에 참석한 청년 A씨는 “사회생활을 하다가 자립준비청년이라고 밝히면 주변의 시선이 달라지는 것을 느낀다”며 “그때마다 심리적으로 위축된다. 후배들은 이런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자립준비청년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에 앞장서 달라”고 건의했다. 제빵을 전공한 한 청년은 직접 구운 빵을 윤 대통령에게 선물했다.
이날 윤 대통령이 방문한 충남자립지원전담기관은 아동복지시설 및 가정위탁 보호아동 중 보호종료 후 5년이 되지 않은 청년에게 1대1 관리와 자립지원 통합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곳이다. 삼성전자,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등이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자립준비청년을 지원하는 ‘삼성 희망디딤돌’ 센터 중 하나다.
윤 대통령은 “기업에서 이런 좋은 일을 하고 종교 단체와 학교도 관심을 갖고 애써주는 것을 보며 정부 대표자로서 부끄러운 마음”이라며 “민간이 잘해주는 것에 대해 정말 감사하다”고 말했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