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가뒷담] 경제 슬로건 필요없다던 정부, 뒤늦게 아이디어 찾기

입력 2022-09-14 04:06

경제 위기를 등에 업고 출범한 윤석열정부가 새로운 정책 슬로건을 고민하고 있다. 출범 초기 “브랜드화(化)는 시기상 이르다”는 기조에서 “상징적 슬로건이 필요하다”는 방향으로 공감대가 퍼지고 있다. 지난 정부를 대표하는 슬로건처럼 경제정책을 한 마디로 축약할 수 있는 단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13일 “정부 출범 초기에는 ‘정책 슬로건이 꼭 필요하냐’는 기류가 강했는데, 요즘 들어 정부 경제정책을 상징하는 슬로건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퍼지고 있다”면서 “아이디어를 모으고 고민하는 초기 단계”라고 말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지난 4월 지명 후 첫 기자간담회에서 “새 정부 경제정책의 브랜드를 무엇으로 가져갈지에 대해서는 고민 중”이라면서도 “개인적으로 브랜드화하는 건 맞지 않다고 생각하고, 시기상 이른 감이 있다”고 말했다. 이후 발표한 경제정책방향이나 정부 출범 100일 간담회 등에서도 경제정책 슬로건은 등장하지 않았다. 경제 운용 기조를 ‘자유’ ‘공정’ ‘혁신’ ‘연대’로 정하고, 이전 정부의 소득주도성장을 폐기했다는 것이 정책 성과로 소개될 뿐이었다.

이에 비해 앞선 정부는 이명박정부 ‘녹색성장’, 박근혜정부 ‘창조경제’, 문재인정부 ‘소득주도성장’ 등 국정 운영의 큰 방향성을 대표하는 슬로건이 있었다. 이명박정부는 출범 6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저탄소 녹색성장’을 들고나와 남은 임기를 녹색성장 기조로 채웠다. 박근혜정부는 취임사에서부터 창조경제를 정부 경제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문 전 대통령은 취임 전부터 일찌감치 소득주도성장을 정책 공약으로 정했다. 창조경제와 소득주도성장이 ‘실패한’ 정책으로 평가되더라도 당시 정부의 경제정책을 상징하는 대표적 슬로건이었다는 데는 이견이 없다. 이를 감안해 현 정부 내부적으로는 민간 주도 성장, 전략 산업 육성 등을 포괄하는 단어를 고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종=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