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의 핵심 축인 민간공항 청사진을 제시했다. 시는 통합신공항이 중·남부권 중추공항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민간공항 건설·운영을 담당할 국토교통부에 충분한 시설규모 반영을 요청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13일 통합신공항 민간공항 부분의 규모와 구성 등을 담은 계획안을 발표했다.
시는 2035년이 되면 우리나라 전체 국제여객 수요의 14.2%인 1998만명, 국제항공 화물 수요의 25.1%인 148만t이 통합신공항에서 처리될 것으로 전망했다. 2060년이 되면 국제여객 수요는 2887만명, 국제항공 화물 수요는 197만t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민간공항 활주로는 3800m 길이로 시간당 50회 이상 운항이 가능 규모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 군용 항공기와 함께 활주로를 운용해야 하는 한계 때문에 2035년 이후 민간 전용 활주로 1본을 추가하는 2단계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계류장은 항공기의 원활한 운항(공항이 가장 활성화된 시점 기준) 지원을 위해 57곳(여객기 53곳, 화물기 4곳)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경쟁력 있는 국제 허브공항을 만들기 위해서는 여객·화물터미널도 필요한 것으로 예측됐다. 화물터미널은 예측된 화물수요와 화물터미널에 적용하는 시설기준을 반영해 21만1000㎡(인천공항의 67.6%)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국가 공항정책의 대전환을 통해 유사시 대응능력을 높이고, 통합신공항이 지방경제의 비즈니스 거점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