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에서 이재명(사진) 대표는 민생 챙기기에 집중하고 당 지도부는 윤석열정부·검찰 때리기에 앞장서는 투 트랙 전략으로 ‘사법 리스크’ 돌파를 시도하고 있다.
이 대표는 추석 연휴 직후 ‘민생’을 키워드로 민심 확보에 나섰다. 고유가·고물가·고금리 등 경제 위기로 정부에 대한 국민 불만이 커지는 상황에서 민생 문제가 윤석열정부의 약한 고리라고 판단한 것이다.
민주당 고위 관계자는 12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민주당과 이 대표는 민생을 강조하는 길밖에 없다”며 “윤석열정부와 검찰이 펴놓은 덫에 걸려들 필요가 전혀 없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윤석열 대통령에게 영수회담을 거듭 제안할 예정이다. 윤 대통령이 제안을 받으면 좋고, 받지 않아도 이 대표에게 불리할 것이 없기 때문이다. 이 대표는 또 정기국회 내내 정부·여당의 ‘부자 감세’ 추진에 반대한다는 메시지를 부각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이 대표는 자신의 대선공약이었던 ‘기초연금 인상’도 적극 추진 중이다. 그는 최근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현재 월 30만원 수준인 기초연금을 40만원으로 인상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고 한다.
이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당직자 회의에서도 각 부문별로 ‘기본이 보장되는 사회 조성’을 주문하며 기초연금 인상 정책을 강조했다고 한다.
회의에서는 현재 소득 하위 70%인 대상자는 기초연금을 인상하고, 나머지 30%에게는 월 20만원의 기초연금을 지급하는 방안과 현재 지급액을 만 65세 이상 국민 전원에게 지급하는 방안 등이 폭넓게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표는 또 국민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한 고위 당직자는 “이 대표가 현재 언론 환경이 매우 안 좋기 때문에 국민과 직접 소통하는 채널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시했다”며 “관련 보고에 ‘그 정도로 되겠나’라며 보강을 주문했다”고 전했다.
이 대표가 사법 리스크 정국의 한복판에 있으면서도 사법 이슈와 거리두기를 하고 있는 것은 검찰에 의해 조성되는 불리한 정국에 말려들지 않으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이 ‘검찰의 추가 기소 가능성을 어떻게 보느냐’고 묻자 “내가 뭘 잘못한 것이 또 있다고 합니까”라고 반문했다. 다만 이 대표는 기소 대응책, 변호인 선임 등에 관한 물음에는 답하지 않았다.
검찰의 ‘정치 탄압’에 대한 맞대응은 당이 전담하고 있다. 민주당 지도부는 추석 연휴 마지막 날에도 정부와 검찰을 강하게 성토했다. 조정식 사무총장은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윤 대통령은 ‘검(檢)통령’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칼로 흥한 자는 칼로 망한다는 것이 세상 이치”라고 비판했다.
민주당 ‘윤석열 정권 정치탄압대책위원회’ 위원장인 박범계 의원도 “이 대표에 대한 탄압을 넘어서 민주주의에 대한, 법치주의에 대한 탄압”이라고 주장했다.
최승욱 안규영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