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 대신 LPG 공급 확대하고 민간 수입업체에 수급 조정 명령

입력 2022-09-08 04:07
유법민 산업통상자원부 자원산업정책국장이 7일 서울 중구 가스공사 스마트워크센터에서 열린 '천연가스 수급현황 점검회의'에 참석,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액화천연가스(LNG) 대신 액화석유가스(LPG) 공급을 확대하고, 민간 가스 수입업체에 대한 수급 조정 명령을 내리는 방안까지 검토키로 했다. 올겨울 러시아발(發) 글로벌 가스 대란이 현실화할 조짐을 보이자 전례 없는 ‘비상 카드’까지 꺼낼 준비를 하는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유법민 자원산업정책국장 주재로 가스공사, 민간 LNG 직수입사 등과 함께 ‘천연가스 수급 현황 점검회의’를 열었다. 유 국장은 “정부는 현재 국제 천연가스 시장을 비상 상황으로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 가스공사는 물론 민간 직수입사의 수급관리 현황도 집중 관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필요하면 민간 직수입사에 수출입 규모나 시기 조정 명령을 통해 국내 수급 안정화 조치를 취하겠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이례적으로 민간 업체에 대한 수급 조정 명령까지 검토한 것은 올겨울 가스 수급 전망이 암울하기 때문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러시아의 가스공급 축소로 올겨울 유럽과 아시아의 천연가스 물량 확보 경쟁이 심화하면서 가격이 치솟을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5일 기준 동북아 LNG 현물 시세(JKM)는 100만BTU(열량단위)당 62.8달러로, 올해 초(29.4달러)보다 배 이상 뛰었다.

정부는 도시가스 원료로 LNG 대신 석유에서 추출한 가스인 LPG를 공급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이를 놓고 일각에선 정부가 탄소 중립을 추진하면서 석유 연료에 다시 기댄다는 비판도 나온다. LNG와 달리 LPG는 폭발 위험이 크다는 점 때문에 안전 대책을 함께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정부는 자발적으로 도시가스 사용량을 일정 수준 이상 절감한 가구나 사업체에 장려금을 주는 캠페인도 전개키로 했다.

세종=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