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전기·가스 요금 상승률 20% 넘나

입력 2022-09-07 04:06

최근 가스·전력 도매가격이 역대 최고 수준으로 치솟고 있다. 한국가스공사와 한국전력의 재무 부실도 한계치에 임박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공공요금 인상 압박이 한층 고조된 가운데 물가 상승을 억제해야 하는 정부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벌써 다음 달 가스·전기 물가상승률이 20%를 넘어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6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가스공사의 9월분 가스 도매가격(열량단가)은 Gcal(기가칼로리)당 14만4634원으로 지난달보다 13.8% 올랐다. 3개월 전인 지난 6월(7만7662원)과 비교하면 배 가까이 뛰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2.4배 수준이며, 2년 전인 2020년 9월 대비로는 4.3배 오른 것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하면서 액화천연가스(LNG) 공급난으로 가격 상승세가 이어진 탓이다.


가스 도매가격이 오르면서 전력 도매가격도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전력 도매가격에는 여러 에너지원 중 가스 가격이 가장 크게 반영된다. 한전이 발전사에서 전력을 사 올 때 적용되는 전력도매가격(SMP·System Marginal Price)은 이달 6일(육지 기준) kWh(킬로와트시)당 246.68원을 기록해 2001년 전력거래소 설립 이래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한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의 재정 부담도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최근 증권사들이 전망하는 한전의 올해 연간 영업손실 규모는 평균 28조8423억원 수준이며, 가스공사의 미수금 규모도 6월 말 기준 5조1000억원에 달한다. 지난해 말만 해도 가스공사 미수금은 1조8000억원 수준이었다.

한전과 가스공사의 적자를 줄이는 방법은 연료비가 오른 만큼 전기와 가스의 판매 가격을 올리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물가 상황을 고려하면 정부가 이 같은 판단을 내리기는 쉽지 않다. 통계청이 지난 2일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전기·가스·수도의 물가상승률은 전월과 같은 15.7%를 기록하며 고공행진 중이다.


특히 수도를 제외한 전기료와 도시가스 물가 상승률은 지난달 각각 18.2%와 18.4%에 달했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7%인 것을 고려하면 3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더욱이 다음 달 도시가스 요금 중 정산단가와 전기요금 중 기준연료비의 동시 인상이 예정돼 있어서 10월에는 두 공공요금의 물가 상승률이 20%를 넘길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전기요금에선 기준연료비가 4월에 이어 ㎾h당 4.9원 오를 예정이며, 가스요금도 정산단가가 MJ(메가줄)당 1.9원에서 2.3원으로 인상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다음 달 도시가스 요금의 정산단가 인상 시 연료비에 연동되는 기준연료비도 함께 올리는 방안을 기획재정부와 협의 중이다. 이미 정부가 최근 몇 년 간 공공요금 인상을 억눌러 왔기 때문에 향후 수년에 걸쳐 공공요금 인상이 진행되는 게 불가피하다. 2011년 이명박정부 당시 6조원에 육박했던 가스공사 미수금이 2017년이 돼서야 모두 회수했던 전례가 있다.

세종=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