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변화로 집중호우가 반복되면서 도시 지역 침수를 막기 위한 근본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대규모 빗물 터널 설치와 도시하천 복개 철거, 방재공원 도입 등이 주요 대책으로 꼽힌다.
국토연구원은 6일 발표한 ‘기후위기 시대 도시침수 예방대책: 2022년 수도권 집중호우의 교훈’ 보고서에서 지난달 수도권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을 내놨다. 서울시의 침수 분석 자료를 보면, 신월 빗물 터널을 설치한 이후 주변 침수 피해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시간당 100㎜ 이상 폭우가 쏟아졌는데도 피해가 컸던 서울 강남에 비해 피해가 현저히 적었다. 보고서는 강남역 등 상습침수지역에도 방재 성능 목표를 시간당 100㎜ 수준으로 상향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앞서 서울시는 앞으로 10년간 1조5000억원을 들여 대심도 빗물 터널을 상습 침수 지역 6곳에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서울시와 협력해 강남역과 광화문에 빗물 터널을 우선 설치하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빗물 터널이 완성되면 광화문과 강남역 일대가 각각 시간당 100㎜와 시간당 110㎜ 폭우에도 견딜 수 있을 전망이다. 보고서는 또 복개하천을 정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복개하천은 복개 구간 내 주차장, 도로 등을 위한 구조물 때문에 홍수 범람에 취약하다. 서울시는 지난해 1월부터 도림천과 녹번천 복개 철거를 진행하고 있다.
도시공원의 방재 기능을 강화해 방재공원으로서 역할을 하게 해야 한다는 제안도 내놨다. 시군구 단위에서 방재공원을 조성할 수 있도록 관련 시행규칙을 정비하고, 장기적으로는 모든 도시공원에 방재 기능을 포함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일본은 법적 근거에 따라 방재공원을 조성하고 있다. 평상시에는 공원으로, 강우 시에는 하천의 홍수량을 가두는 시설로 활용하는 식이다.
김준성 국토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빗물 저류 배수시설 설치 등 구조물적 차원의 중·장기적 대책에 적극 투자하는 한편, 도시계획적 수단을 포괄하는 근원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종=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