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대장동 개발사업 초기에 사직 압박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 황무성 초대 성남도시개발공사(이하 공사) 사장을 불러 조사했다. 황 전 사장은 자신에 대한 사퇴 압박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정진상 전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부실장이 개입했다는 의혹을 제기했었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부장검사 강백신)는 5일 황 전 사장을 참고인으로 소환 조사했다. 그는 2013년 9월 초대 공사 사장으로 부임한 뒤 2015년 3월 자리에서 물러났다. 이후 유동규(구속 기소) 전 공사 기획본부장이 사장 직무대행을 맡아 대장동 사업을 주도했다.
황 전 사장은 대장동 사업 공모 공고 직전인 2015년 2월 유한기(사망) 전 공사 개발본부장으로부터 사퇴 종용을 받은 정황이 담긴 녹취록을 지난해 10월 공개했다. 해당 녹취록에서 유 전 본부장은 ‘시장님’ ‘정 실장’을 언급하며 황 전 사장에게 자진 사퇴를 권했다. 그러나 검찰은 지난 2월 이 대표와 정 전 부실장 등이 사직을 강요한 혐의(직권남용 등)에 대해 불기소 처분했다. 한 시민단체가 검찰 처분에 서울고법에 재정신청을 냈다 기각됐고, 이후 대법원에 재항고했다.
황 전 사장은 대장동 사업 초기 단계 전반을 잘 아는 인물이다. 그는 “실제 대장동 사업 공모지침서 내용(1822억원 고정이익)이 ‘공사에 50% 수익 보장’이었던 2015년 1월 투자심의위원회 의결 내용과 달랐다는 것을 검찰 조사 이후 알게 됐다” “나는 대형 건설사를 대장동 컨소시엄에 넣으라고 했는데, 이재명 (당시) 시장은 대형 건설사는 빼라고 했다”고도 주장했다. 황 전 사장 재임 시절인 2013년부터 공사는 위례신도시 개발사업도 맡았는데, 최근 검찰은 이 사업으로 수사망을 넓히고 있다.
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