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검찰의 소환 통보 이후 난타전을 벌이는 상황에서 ‘쌍특검’이 쟁점으로 떠올랐다. ‘쌍특검’은 ‘이재명·김건희’ 의혹에 대한 특검을 동시에 하자는 것이다.
지난 대선 때도 성사되지는 않았지만 쌍특검이 논란이 됐다. 당시 쌍특검 대상은 ‘이재명·윤석열’이었으나 이제는 윤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로 민주당의 타깃만 달라졌다.
특히 이 대표가 자신을 겨냥한 의혹과 김 여사를 둘러싼 의혹에 대해 동시 특검 수용 의사를 시사하면서 쌍특검 논란이 다시 불붙었다. 그러나 국민의힘은 이를 “물귀신 작전”이라고 일축하며 김 여사 엄호에 주력했다.
이 대표는 5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이재명·김건희 쌍특검 추진 가능성’에 대한 질문을 받고 “화천대유 문제는 제가 대선 때도 계속 ‘특검을 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말씀드렸다”고 답했다.
이 대표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국민의힘이 ‘대장동 특검’ 도입을 압박하자 당시 맞상대였던 윤 대통령 역시 대장동 의혹과 관련이 있다며 ‘쌍특검’ 도입을 주장한 바 있다.
이 대표의 이날 발언은 과거에도 ‘쌍특검’ 수용 의사가 있었음을 거론하며 에둘러 김 여사와의 ‘쌍특검’ 추진에도 열려 있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이 대표는 김 여사 특검 여부에 대해 직접 의견을 밝히지는 않았다.
이와 관련해 진성준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BBS라디오 인터뷰에서 “때마침 김건희 (여사) 특검법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여당이 이 대표에 대해서도 특검해야 한다고 하니 (이 대표가) 얼마든지 받아들일 수 있다는 입장을 가진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국민의힘은 민주당의 ‘쌍특검’ 제안을 일축했다. 성일종 정책위의장은 CBS라디오 인터뷰에서 민주당의 ‘김건희 특검법’ 추진 움직임에 대해 “(이 대표가) 선거법 위반으로 조사를 받는데 김 여사와 왜 연관을 짓나. 소가 웃을 일”이라고 비꼬았다.
성 의장은 민주당이 주장하는 김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에 대해서는 “친문(친문재인) 검찰이 먼지 털 듯 털었다. 수년 동안 탈탈 털었는데 없는 것을 무엇을 가지고 특검을 하자는 것이냐”며 방어막을 쳤다.
이런 상황에서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이 대표에 대한 검찰의 소환 통보에 대해 민주당이 “전쟁”이라며 강하게 반발하는 것과 관련해 “이것은 전쟁이 아니라 범죄 수사”라고 반박했다.
한 장관은 국회에서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 출석에 앞서 이 대표의 검찰 출석 여부에 대한 질문을 받고 “출석에 응하는 것은 본인 자유가 아니겠느냐”며 “(제가) 평가하거나 그럴 만한 사안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한 장관은 예결위 전체회의에서는 민주당의 윤 대통령 고발과 관련해 “정치적, 상징적 의미로 하신 것 아닌가 생각한다”고 답했다.
오주환 구승은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