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교육청이 추진 중인 각종 현안사업이 난마처럼 꼬이고 있다. 간부 인사는 물론 교육현장 주요 업무가 반대여론에 부딪혀 갈등을 빚거나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광주시교육청은 지난 1일자로 임기 2년의 개방형 직위인 감사관(3급)에 유병길 전 광주시선거관리위원회 관리관을 임용했다. 하지만 감사원 출신이 아닌 선관위 출신이 이례적으로 임용된데다 유 신임 감사관이 이정선 시교육감의 순천 매산고 26회 동기 동창인 것으로 밝혀져 정실인사라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광주교육희망네트워크와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광주교사노조 등은 “교육행정에 대한 감사의 독립성을 해치고 비리 예방과 청렴도 향상에도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며 감사관의 사퇴를 촉구하고 있다.
현안사업도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시교육청이 초등학교 돌봄교실 참여학생 등 1만여 명을 대상으로 전국 최초로 도입하려던 ‘여름방학 중 무상급식’은 영양사, 조리원 등 급식종사자, 전교조, 광주교총 등의 반대로 사실상 무산됐다.
‘학생 1인 1태블릿PC 보급사업’도 광주시의회에서 예산 307억원을 전액 삭감해 체면을 구겼다. 시교육청은 광주지역 중·고생 6만7000여 명에게 태블릿PC를 우선 공급하고 초등학생들에게 단계적으로 이를 확대하기로 했으나 시의회는 “구체적 사업계획과 통신망 검증 등 준비작업이 부족하다”면서 “다른 시·도의 실패사례도 철저히 조사해 게임기로 전락하지 않도록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주문했다.
시교육청 간부 40여명은 지난달 19~20일 전남의 화순의 한 리조트에서 정책 워크숍을 개최하면서 평소 문을 닫아둔 노래방 시설까지 개방하도록 무리하게 요구하고 음주를 곁들인 회식을 했다가 이 교육감을 포함한 간부 수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기도 했다.
교육단체 관계자는 5일 “이 교육감과 시교육청이 의욕만 앞세워 일방적 교육정책을 추진하는 데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실타래 풀어가듯 현안을 꼼꼼히 다뤄 시행착오를 최소한으로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