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강 ‘힌남노’… 물폭탄·강풍 몰고 제주 접근

입력 2022-09-05 04:08
4일 제주 서귀포시 해안에 높은 파도가 밀려오고 있다. 대만 타이베이 북동쪽에서 북상 중인 제11호 태풍 ‘힌남노’는 5일 오전 제주도 인근 해상을 지나 6일 오전 9시쯤 부산 인근에 상륙할 것으로 관측됐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위기 경보 수준을 ‘주의’에서 ‘심각’으로 상향하고, 비상대응 수위도 1단계에서 바로 3단계로 높였다. 한라일보 제공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역대 가장 센 위력을 지닌 채 한반도에 상륙할 것으로 보인다. 5일 오전 제주 서귀포 인근 해상을 지나 6일 오전 부산 인근에 도달할 것으로 예보됐다. 전국적으로 시간당 100㎜ 이상의 폭우가 쏟아지고, 남해안을 중심으로 순간 최대풍속이 초속 40~60m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4일 기상청에 따르면 북상 중인 힌남노는 5일 오전 9시 제주 서귀포시 남남서쪽 460㎞ 부근 해상을 지나 6일 오전 9시 남해안에 오를 예정이다. 상륙 시 최대풍속은 초속 43m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남해안 일부에선 순간 최대풍속이 초속 60m를 기록하는 곳도 나올 수 있다. 힌남노는 6일 부산 북북서쪽 약 20㎞ 지점을 통과해 울산·경주·포항 등을 거쳐 동해상으로 빠져나가겠다.

힌남노가 상륙하는 6일 오전 중심기압은 950hPa(헥토파스칼)로 예상된다. 국내에 상륙한 가장 강한 태풍으로 기록된 1959년 사라(951.5hPa)와 2003년의 매미(954hPa)보다 낮다. 태풍은 중심기압이 낮을수록 위력적이다.


6일까지 전국에 100~300㎜ 수준의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됐다. 특히 수도권과 강원영서 중·북부, 충남북부 등에서는 시간당 100㎜, 누적 400㎜가 넘는 폭우가 내리는 곳도 있겠다. 남해안에선 최대 10m 이상의 폭풍 해일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다만 힌남노의 경로는 여전히 유동적이다. 현 예상 경로보다 서쪽으로 이동해 한반도를 직접 강타하면 피해가 커질 수 있다.

행정안전부는 4일 오후 4시30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대응 수위를 1단계에서 3단계로 격상했다. 태풍 중 1단계에서 3단계로 즉시 상향한 건 전례가 없다. 태풍·호우 위기경보도 ‘주의’에서 ‘심각’으로 올렸다. 윤석열 대통령은 힌남노 대비 회의에서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고 태풍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며 “공직자들은 선(先)조치 후(後)보고를 해 달라”고 당부했다.

김판 문동성 강준구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