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추석 전 ‘새 비대위 출범’ 승부수… 암초 제거에 총력전

입력 2022-09-05 04:08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가 당헌·당규 개정안 의결을 위해 지난 2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6차 상임전국위원회에 참석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국민의힘이 ‘추석 전 새로운 비상대책위원회 출범’에 올인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두 번의 실패는 없다’는 각오로 비대위 전환 절차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이준석 전 대표가 제기한 가처분 신청을 법원이 받아들이면서 ‘1차 비대위’가 제동이 걸렸던 실수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새 비대위원장을 누가 맡을지도 최대 관심사다. 여권 내부에서는 법원의 가처분 결정에 따라 직무가 정지됐던 주호영 비대위원장이 새 비대위원장으로 유력하게 거론된다.

국민의힘은 ‘비상상황’을 구체화한 당헌 개정안을 5일 전국위원회에서 의결한 뒤 오는 8일 새로운 비대위를 출범할 계획이다. 법원이 지난달 26일 “비대위를 출범해야 할 비상상황으로 보기 어렵다”며 이 전 대표가 낸 1차 가처분 신청을 인용하자 보완에 나선 것이다. 이를 위해 국민의힘은 비대위 전환 조건을 기존 ‘최고위원회 기능 상실’에서 ‘선출직 최고위원 5명 중 4명 이상 사퇴’로 당헌을 개정했다.

국민의힘은 5일 전국위를 열어 당헌 개정안을 ARS 투표를 통해 의결할 예정이다. 비상상황 조건을 구체적으로 명시한 당헌 개정안은 이미 지난 2일 상임전국위를 통과했다. 국민의힘은 또 비대위원장의 사고·궐위 시 그 직무를 원내대표가 제일 먼저 대행하고, 최다선 의원 가운데 연장자 순으로 대행하는 규정 등도 추가하며 촘촘하게 당헌을 정비했다.

국민의힘 구원투수인 비대위원장에는 직무정지 상태인 주 위원장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한 원내지도부 관계자는 4일 “주 위원장이 다시 비대위원장을 맡는 편이 현재로선 가장 합당하다”며 “법원의 가처분 결정이 주 위원장 잘못으로 나온 것도 아닌 데다 법원 결정 하나 나왔다고 주 위원장을 흔들 이유는 없다”고 밝혔다. 수도권의 한 의원도 “주 위원장이 비대위원장직을 얼마 수행하지도 못했는데, 새 인물을 다시 내세우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다만 다선 의원 중에서 깜짝 인물이 부상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새 비대위원장 임명권을 쥐고 있는 권성동 원내대표 겸 비대위원장 직무대행이 5일 전국위 이후 인선안을 발표한다. 권 대행은 주말 공식 일정을 비운 채 비대위 인선 장고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새 비대위 성격에 대해선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지적도 있다. 주 위원장은 지난달 9일 비대위원장 취임 기자회견에서 비대위를 당의 혁신까지 이루는 ‘혁신형 관리 비대위’로 운영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한 비대위 관계자는 “법원의 가처분 결정으로 비대위 체제가 힘을 잃은 상황”이라며 “새 비대위가 출범한다고 해도 혁신에 나서긴 어려울 것이기 때문에 차기 당대표를 뽑는 전당대회 준비하는 ‘관리형 비대위’가 될 것 같다”고 전망했다.

국민의힘이 추석 전에 새 비대위를 출범시키더라도 완전히 정상궤도에 진입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이 전 대표가 추가로 제기한 가처분 신청 등 지뢰가 여전하기 때문이다.

손재호 강보현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