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4일 당의 비상대책위원회 재출범 시도를 가리켜 “타인의 자유를 침해하는 월권”이라고 비판했다. 이 전 대표는 이날 보수 진영의 텃밭인 대구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사태와 비교해 “지금의 국민의힘은 그 당시보다 더 위험하다”고 말하는 등 윤석열 대통령과 당을 향해 직격탄을 날렸다.
이 전 대표는 대구 김광석거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의힘 모든 구성원에게는 윤석열정부에 대해 지적할 자유가 있다”며 열변을 토했다. 이 전 대표는 지난달 18일에 이은 두 번째 기자회견 장소로 박 전 대통령의 정치적 근거지인 대구를 택했다. 박 전 대통령을 수사했던 윤 대통령이 자신을 내친 것을 비판하며 보수층의 지지를 다지려는 행보로 풀이된다.
이 전 대표는 윤 대통령을 겨냥해 “당대표가 내부총질 한다며 마음에 들지 않아 하는 것도 자유요, 그를 내친 뒤에 뒷담화하는 것도 자유”라고 지적한 뒤 “하지만 그 자유를 넘어서 당헌·당규를 마음대로 개정하고 당무를 뒤흔들어 놓는 것은 타인의 자유를 침해하는 월권”이라고 주장했다. 국민의힘을 향해선 “법원의 판결도 무시하고 당헌·당규를 졸속으로 소급해서 개정해 스스로의 부끄러움을 덮으려고 하는 행동은 반헌법적”이라고 지적했다.
대구의 국민의힘 초선 의원들에 대한 심판론도 꺼냈다. 이 전 대표는 “세금에 허덕이고 고생할 국민을 위해 자기 얘기를 하던 정치인은 배신자로 몰고, 대구시민이 어디서 뭘 하고 있는지도 모르는 정치인들은 오늘도 초선이라는 이름 아래 누군가의 전위대가 되어서 활동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근혜정부 시절 “증세 없는 복지는 허구”라고 외치며 정부와 대립각을 세웠던 유승민 전 의원을 거론하면서 당헌·당규 개정에 앞장선 초선 의원들을 비판한 것이다.
이 전 대표는 “대구는 다시 한번 죽비를 들어야 한다”며 “공천 한번 받아보기 위해 불의에 귀부(스스로 와서 복종)한다면 대구도 그들을 심판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전 대표는 자신에 대한 추가 징계 가능성이 거론되는 것에 관해선 “양두구육이라는 사자성어 하나 참지 못해서 길길이 날뛰는 사람들은 공부할 만큼 했는데도 지성이 빈곤한 것이겠느냐, 아니면 각하가 방귀를 뀌는 때에 맞춰서 시원하시겠다고 심기 경호하는 사람들이겠느냐”고 불만을 표출했다.
자신의 성상납 의혹을 수사 중인 경찰의 출석 통보와 관련해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는 다르게 출석을 거부할 의사가 없다”며 변호인을 통해 출석 일정을 조율 중이라고 밝혔다.
구승은 기자 gugiz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