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윤(친윤석열)계 핵심 인사들의 잇단 ‘후퇴 선언’에 국민의힘 내부 권력 구도에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친윤 인사들의 전략적 후퇴가 대혼돈에서 아직 빠져나오지 못한 국민의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집중된다. 여권 내부에서는 권력 지형도가 변화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권성동(왼쪽 사진) 원내대표는 새 비대위를 출범시키고 사퇴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친 상태다. 장제원(오른쪽) 의원도 31일 페이스북을 통해 “계파 활동으로 비칠 수 있는 모임이나 활동 또한 일절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친윤 ‘양대산맥’으로 평가받는 권 원내대표와 장 의원의 선언에 대해 국민의힘 내부 평가는 엇갈리고 있다. 위기 수습을 위한 진정성 있는 결단이라는 긍정적 평가와 책임 면피용 조치라는 부정적 평가가 동시에 나오는 상황이다.
한 중진 의원은 1일 “늦은 감이 있지만, 두 의원 모두 당을 위해 용기 있는 결정을 했다”며 “후퇴를 선언한 이들의 진정성을 믿는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국민 앞에 나서지 않겠다고 천명했는데,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측 핵심 관계자)으로 또 역할을 한다면 엄청난 비난을 받을 것”이라고 견제구를 던졌다.
한 수도권 의원은 “권 원내대표와 장 의원 모두 정치적 계산 없이 위기 수습을 위해 자신을 던진 것 아니냐”고 높게 평가했다.
장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상임위와 지역구 활동을 열심히 하겠다고 했고, 할 말이 없다”면서 “있는 그대로만 봐달라”고 답했다.
하지만 이들의 결정에 대한 비판적 시선도 적지 않다. 다른 수도권 의원은 “여권 혼란의 근원으로 ‘윤핵관’이 거론되니, 일단 피하고 보자는 생각에 ‘2선 후퇴’를 결정한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대통령실이 친윤 세력의 추천 인사를 중심으로 내부 직원들에 대해 고강도 감찰을 진행하고 있는 것도 이들의 후퇴 결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여기에다 친윤 세력들이 장막 뒤에서 영향력을 계속 행사할 것이라는 의구심도 완전히 가신 것은 아니다.
강보현 기자 bob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