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인 ‘베를린국제가전박람회(IFA 2022)’가 독일 베를린에서 현지시간으로 2일 막을 올린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2년 만에, 오프라인 행사로는 3년 만에 열리면서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가전제품의 개념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거대한 변화의 흐름’이 전시장을 가득 채울 예정이다.
삼성전자 LG전자 등 한국의 IT·가전 기업은 6일까지 열리는 IFA 2022에 참가해 전시·상담 부스를 운영한다. 이번 행사에는 가전·홈엔터테인먼트·오디오·통신·컴퓨팅&게이밍 등의 분야에서 1900여 기업이 참여했다. 전시회 기간 방문객은 약 24만명에 이를 전망이다. 전시회에 참가한 한국 기업은 2019년 90여곳에서 160여곳으로 늘었다. 역대 최대 규모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현장에서 가장 큰 규모의 전시장을 운영한다. 삼성전자는 1만72㎡ 크기의 전시·상담 공간을 마련했다. ‘스마트싱스 라이프를 경험하라’ ‘지속 가능한 일상’을 주제로 꾸몄다. 전시장 입구에 대형 LED 스크린으로 만든 터널을 설치해 방문객과 상호 작용한다. 스마트홈을 이용한 ‘초연결 사회’를 실현한다는 의미를 담았다. 방문객들이 직접 스마트싱스 기반의 연결 경험을 체험할 수 있도록 전시장을 7개 주거 공간으로 구성했다.
삼성전자는 1일 프레스콘퍼런스를 열고 스마트싱스 개념을 ‘사물인터넷(IoT) 플랫폼에서 확장해 개인 맞춤형 멀티 디바이스 경험 전반을 아우르는 기술’로 재정의했다. 삼성전자의 제품·서비스뿐 아니라 300여개 브랜드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기까지 연결해 ‘초연결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친환경 가전을 앞세워 지속 가능한 미래를 그리는 기술도 선보인다. 제품의 생애 주기를 제조·유통·사용·폐기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서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진행하고 있는 친환경 노력을 강조했다. MZ세대가 중시하는 ‘가치소비’ 흐름에 맞춰 고품질 친환경 액세서리 컬렉션인 ‘에코 프렌즈’도 새롭게 소개한다. 마이크로 LED를 필두로 한 TV 라인업, 비스포크 홈 제품도 전시장에 전면 배치했다.
LG전자는 3610㎡ 규모의 단독 전시장을 꾸렸다. 다양한 시청 경험을 제공하는 초대형 TV 라인업, 게이밍 성능에 특화된 올레드 TV 등을 내놓는다. LG전자의 강점은 ‘신제품’이다. 핵심 기술을 적용한 새로운 가전제품을 대거 공개하며 전 세계에 ‘기술의 LG’를 각인한다는 전략이다.
LG전자는 이날 만지는 것만으로 색상을 바꿀 수 있는 냉장고 ‘LG 디오스 오브제컬렉션 무드업’을 선보였다. ‘백색가전’으로 불리던 냉장고를 이용자 기분에 따라 얼마든지 색상을 바꿀 수 있는 ‘공간 꾸미기용 가구’라는 개념으로 탈바꿈하겠다는 시도다. LED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유입된 빛을 고르게 확산하는 도광판을 적용한 신기술이 냉장고 문의 표면에 탑재됐다. LG 씽큐 앱을 이용해 냉장고 문 상칸 22종, 하칸 19종의 색상을 원하는 대로 조합해 사용할 수 있다.
가전제품을 공간 디자인에 활용할 수 있는 신개념 제품도 LG전자 전시장을 채웠다. 백화점 부티크 진열장처럼 신발을 보관할 수 있는 LG 스타일러 슈케이스, 스팀으로 신발을 관리할 수 있는 LG스타일러 슈케어, 테이블형 공기청정기 퓨리케어 에어로퍼니처 등을 처음으로 내놓는다.
베를린=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