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전 출범’ 속도내는 비대위… ‘권·이 동반사퇴론’ 돌기도

입력 2022-09-01 04:08

국민의힘이 ‘추석 전’ 새로운 비상대책위원회 출범이라는 시간표를 맞추기 위해 가속도를 내고 있다. 그러나 새 비대위 출범에 대한 반대 주장이 계속 분출되는 등 암초는 여전한 상황이다.

국민의힘은 지난 27일과 30일 두 차례에 걸친 의원총회를 통해 당헌·당규를 개정해 새 비대위를 출범시키기로 결의했다. 이를 위해 국민의힘 지도부는 3일까지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원회를 잇따라 열어 새 비대위 출범의 1차 관문인 당헌·당규 개정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비대위 출범을 반대하는 서병수 의원은 전국위원회 의장직에서 스스로 물러났다. 서 의원의 자진 사퇴는 정치적 소신을 지키면서도 의총 결과를 거스르지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에 따라 전국위 부의장인 초선의 윤두현 의원이 전국위의장 대행을 맡게 됐다.

박정하 수석대변인은 국회 소통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상임전국위원 55명 중 4분의 1 요구로 상임전국위 소집 요구서가 제출됐다”고 밝혔다. 박 수석대변인은 이어 “윤두현 대행이 2일 상임전국위를 소집해서 당헌 개정안이 의결되면 즉각 전국위원회 개최를 공고한 뒤 오는 5일 전국위원회를 소집해 ARS 투표를 통한 당헌 개정안을 의결할 것”이라고 향후 일정을 설명했다. 특히 박 수석대변인은 “추석 전인 8일쯤 비대위가 출범할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30일 의원총회를 통해 선출직 최고위원 5명 중 4명이 사퇴하면 ‘비상상황’으로 보고 비대위를 출범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당헌·당규 개정안을 추인했다. 당헌·당규 개정이 완료되면 곧바로 비대위원장과 비대위원 지명 절차가 이뤄진다. 새 비대위원장으로는 법원 결정으로 직무가 정지된 주호영 비대위원장을 포함해 중진 의원들이 거론된다.

서 의원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국위의장 자진 사퇴 의사를 밝혔다. 서 의원이 스스로 물러나면서 상임전국위와 전국위 소집이 가능해졌다. 서 의원은 “어떻게 하면 제 소신과 생각을 지키면서도 당에 불편을 주거나 당 지도부가 가는 방향에 걸림돌이 되지 않을 수 있는 방향이 있을까 고심한 끝에 직을 내려놓는 게 타당하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서 의원은 ‘사퇴 압박을 받은 것인가’라는 질문을 받고 “전혀 아니다”고 답했다.

새 비대위 출범에 대한 비판은 계속됐다. 차기 유력 당권주자인 안철수 의원은 CBS라디오 인터뷰에서 “국민들 입장에서는 ‘여당이 법원과 싸우려 한다’고 비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안 의원은 이어 “(새로운) 비대위는 법원의 판단에 우리의 운명을 맡기는 것”이라며 “(법원 판단에 대한) 불확실성에 대해 과연 대책이 있는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초·재선 의원들은 30일 의총 직후 성명서를 통해 “일부 중진을 중심으로 대안도 없이 당을 흔드는 언행을 계속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고 주장하면서 새로운 비대위 출범에 반대하는 중진 의원들을 공격했다.

이런 상황에서 ‘권성동·이준석 동반사퇴’ 시나리오도 수면 위로 떠올랐다. 권 원내대표와 비대위 출범으로 대표 지위를 상실한 이 전 대표가 명시적으로 사퇴 의사를 동시에 밝히면서 출구를 찾아야 한다는 논리다.

권 원내대표 사퇴를 통해 이 전 대표에게 명분 있는 퇴로를 마련해 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전 대표가 이 같은 시나리오를 받아들일 가능성은 낮다는 것이 일반적인 분석이다.

손재호 강보현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