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새 자원회수시설 상암동에… 마포구 “백지화하라” 반발

입력 2022-09-01 04:05
서울시의 새로운 자원회수시설(소각장) 최종 후보지로 결정된 마포구 상암동의 현 자원회수시설 부지. 시는 2026년까지 기존 시설 옆에 새 시설을 지은 뒤 기존 시설은 2035년까지 철거할 방침이다. 연합뉴스

2026년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로 신규 광역자원회수시설(소각장) 설립이 시급한 서울시가 기존 마포자원회수시설 부지 내에 이를 짓기로 했다. 마포구는 이같은 결정에 ‘전면 백지화’를 요구하면서 강력히 반대하고 나섰다.

서울시는 신규 광역자원회수시설 건립 입지로 마포구 상암동 마포자원회수시설 부지를 선정했다고 31일 밝혔다. 시는 최종 후보지 5곳을 대상으로 입지선정위원회에서 입지·사회·환경·기술·경제 등 5개 분야에 대한 정량평가를 진행한 결과 해당 부지가 94.9점으로 최고점을 얻었다고 부연했다.

해당 부지는 300m 이내 주거 세대가 없다는 점과 현재 폐기물 처리시설로 지정돼 있어 도시계획시설 결정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서울시는 우선 신규 광역자원회수시설과 청소차 진출입로를 모두 지하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오염방지 설비와 최첨단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해 유럽, 일본보다 오염물질 배출기준도 엄격하게 관리할 계획이다. 신규 시설이 들어서면 750t 규모의 현 마포자원회수시설은 2035년까지 철거할 방침이다.

시는 지역주민 반발을 의식해 다양한 인센티브도 약속했다. 신규 자원회수시설을 주변 한강이나 하늘·노을·난지천 공원과 어울리는 명소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또 1000억원을 투입해 수영장, 놀이공간 등 부지 인근 주민을 위한 편익시설을 조성하고, 연간 약 1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해 주민 아파트관리비 등으로 활용하겠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하지만 발표와 동시에 마포구는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박강수 마포구청장은 성명을 통해 “마포구는 2005년부터 자원회수시설을 운영하며 심각한 피해를 감수하고 있다”며 “서울시가 어떠한 사전협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절차를 진행해 결과를 발표해 매우 심각한 우려와 강력한 유감을 표한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마포구 지역 시·구의원들도 기자회견을 열고 “2012년 정부에서는 당안리발전소 지하화 및 문화조성계획을 대대적으로 발표했지만, 말뿐인 지하화였다”며 “지하화 및 현대화를 조건으로 하는 자원회수시설의 마포구 설치는 절대 불가한 일”이라고 했다.

서울시는 기존 마포자원회수시설을 철거한 뒤 기존 시설이 감당하던 용량은 다른 지역의 자원회수시설 현대화를 통해 해결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현재 시는 관련용역을 진행 중인데 내년 하반기에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이에 자원회수시설이 있는 강남·노원·양천구에서 불만이 나올 가능성도 있다. 양천구 관계자는 “구청장 공약사항이 양천 자원회수시설 이전”이라며 “우리는 어떤 협의에도 나설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새롭게 만든다고 보지 말고, 기존 시설을 없앤다고 봐달라. 새로운 시설은 매우 현대화되고 지하화된다”며 “입지가 선정된 만큼 꼭 좀 도와달라”고 말했다. 이어 3개 자원회수시설의 현대화 방안과 관련해선 “연구를 해봐야 한다”며 즉답을 피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