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 행정구역 개편이 27년 만에 추진된다. 인천시는 생활권과 인구 규모에 적합한 미래지향적이고 합리적인 행정 서비스 제공을 위해 행정구역 개편을 추진한다고 31일 밝혔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현행 체제는 1995년 2군·8구로 확정된 이후 행정적·사회적 여건 변화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유지돼 시민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선 중구(14만명)와 동구(6만명)는 영종도 중심의 영종구(10만명), 중구·동구 내륙 지역의 제물포구(10만명)로 분리 재편한다. 인구 57만명의 서구는 검단 지역을 분리해 검단구(19만명)를 신설하고, 나머지 지역의 서구(38만명)를 존치한다.
남동구도 현재 인구가 51만명이지만 구월2지구 개발이 완료되면 인구가 대폭 증가할 것으로 보고 향후 주민 의견수렴 등을 거쳐 행정구역 개편 여부를 검토하기로 했다. 구의 명칭은 추진 과정에서 주민 의견을 수렴해 확정할 방침이다.
인천 자치구 통·폐합을 실현하려면 기본계획 수립, 관계 자치구의회·시의회 의견수렴, 시장 건의, 행정안전부 검토, 법률안 작성, 법제처 심의, 국무회의 상정, 국회 제출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
행정구역 개편이 성사되면 인천시는 기존 2군·8구 체제에서 2군·9구 체제로 전환된다. 시는 2026년 상반기까지는 행정구역 개편을 완료하고, 그해 지방선거를 개편 행정구역 체제에 따라 치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천의 주민등록 인구는 1995년 235만명에서 지난달 현재 296만명으로 61만명이 늘어났지만, 행정구역 체제는 27년 전과 동일하다. 기초자치단체당 평균 인구수는 29만6000명으로 전국 광역시 중 최고 수준이다.
중구의 경우 영종도 지역과 내륙 지역으로 생활권이 완전히 동떨어져 있다. 서구도 현재 면적이 118.5㎢에 달해 동구·미추홀구·계양구·부평구를 합친 면적보다 넓다. 검단은 1995년 김포군에서 서구에 편입되면서 문화적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이 고려돼 개편 대상에 올랐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