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보안 소프트웨어 기업 이스트시큐리티의 백신 프로그램 ‘알약’에서 정상 프로그램을 랜섬웨어로 오인하는 오류가 발생했다. 이 때문에 알약 사용자들이 ‘컴퓨터 먹통’으로 불편을 겪었다.
이스트시큐리티는 30일 오전 11시30분 업데이트된 알약 공개용 프로그램에서 랜섬웨어 탐지 오류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모기업인 이스트소프트는 알약 이용자를 1600만명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번에 오류를 일으킨 패치는 공개용 ‘v.2.5.8.617’ 버전이다. 이스트시큐리티는 기업용 프로그램에서는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문제의 패치를 업데이트한 알약 공개용 프로그램은 인터넷 브라우저 같은 다른 프로그램과 충돌해 오류를 일으켰다. 컴퓨터를 재실행해도 ‘장치 문제’를 안내하는 메시지만 나올 뿐 운영체제를 실행하지 못한다. 이는 내부적인 시스템 패치 오류이며 외부 침입에 의한 보안 침해 사고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SNS와 인터넷 커뮤니티엔 “알약을 업데이트하고 컴퓨터가 고장났다” “컴퓨터가 작동하지 않아 업무에 지장을 받고 있다”는 불만이 쏟아졌다. 일각에서는 피해 보상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컴퓨터 제조사 서비스센터 관계자는 “알약 업데이트 오류 문제로 방문 고객이 많아 다른 수리 업무를 진행하지 못했다”며 “안전모드로 컴퓨터를 실행해 알약을 지우는 식으로 우선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스트시큐리티는 홈페이지에 복구 프로그램을 배포하고 “랜섬웨어 탐지 기능 고도화를 적용한 뒤 오작동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용자 컴퓨터에 손상을 끼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복구 프로그램을 내려받을 수 없을 경우 컴퓨터를 안전모드로 실행하고 재시도해 설치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김철오 나성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