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초미세먼지 배출량의 약 7%는 화목난로와 숯가마 등 목재연료 사용에 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은 ‘목재연료 사용에 의한 미세먼지 영향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보고서를 내고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친환경 연료전환 지원과 목재연료 사용 관리가 필요하다고 30일 밝혔다.
경기연구원에 따르면 2019년 경기도 미세먼지(PM10) 연간 배출량은 2만9918t, 초미세먼지(PM2.5) 연간 배출량은 9880t이다. 미세먼지 연간 배출량 중 목재난로 및 보일러 185t, 아궁이 14t, 숯가마 578t 등 목재연료 사용 관련 배출량은 778t으로 전체 배출량의 2.6%다. 초미세먼지 연간 배출량에선 목재난로 및 보일러 122t, 아궁이 12t, 숯가마 548t 등 681t을 차지, 전체 배출량의 6.8%로 나타났다.
경기도 지역은 교외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대기오염 부하가 큰 목재연료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시·군별 목재연료 사용에 따른 초미세먼지 연간 배출량을 보면 목재난로 및 보일러는 화성시(10만3000t)와 안성·평택시(각 7만4000t)에서, 숯가마는 양주시(94t)와 여주시(66t)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
이에 연구원은 목재연료 사용에 따른 미세먼지 영향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목재연료 사용에 따른 부작용을 담은 가이드라인 마련과 홍보, 농촌지역에 단독형 혹은 마을 공동형 LPG 보급사업 등 친환경 연료전환 지원사업 추진, 목재연료 연소기기에 대한 미세먼지 배출 인증제 도입 등을 제시했다. 김동영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목재연료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건강위해성에 경각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