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쓰레기소각장 2030년까지 건설한다

입력 2022-08-31 04:05
광주 상무소각장 전경. 광주시 제공

광주시가 2030년까지 4000억원을 투입해 쓰레기 소각장을 건설한다. 직매립 금지 이후 우려되는 쓰레기 대란을 막기 위해 관련 용역 예산 확보에 나섰다.

광주시는 “소각장 건립 타당성 조사 용역비 1억5000만원을 추경 예산안에 편성했다”고 30일 밝혔다. 용역 예산이 책정되면 10개월간의 용역절차에 들어간다.

시는 용역을 통해 소각장 규모와 건립방안·일정 등을 확정할 방침이다. 하루 처리용량 600t 규모를 예상하고 있다. 전국 광역단체 가운데 현재 소각장이 없는 곳은 광주가 유일하다.

용역 발주와 더불어 각계 전문가, 시민단체 대표 등이 참여하는 ‘소각시설 입지선정 위원회’를 꾸린다. 경기 하남·평택, 충남 천안 등의 사례를 토대로 소각시설을 지하화하고 지상에는 공원과 게이트볼장, 수영장 등 복지시설을 건립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한다. 내년 하반기에는 지역공모를 통해 소각장 건립 후보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대표적 혐오시설로 꼽히는 소각장 건립 후보지 인근 주민들의 거센 반발이 예상돼 향후 과정이 순탄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시는 새 소각장의 민원 발생과 환경오염 우려를 씻기 위해 환경영향평가 등 각종 자료를 최대한 투명하게 공개하고 오염물질을 최소화하는 최첨단 소각처리 공법을 도입하기로 했다.

광주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는 양과동 광역위생매립장에 직접 매립하거나 소형 민간소각장, 나주 고형폐기물(SRF) 열병합발전소로 보내 처리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7월 수도권 3개 시·도는 2026년, 나머지 14개 지역은 2030년부터 쓰레기 직매립을 금지하는 폐기물관리법 시행 규칙을 공포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