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동(사진)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사면초가’ 상황에 빠졌다.
국민의힘이 29일 비상대책위원회 회의를 통해 권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 직무대행을 맡아 새 비대위 출범을 위한 산파 역할을 할 것이라고 결정하자 당내에서 권 원내대표의 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봇물 터지듯 쏟아졌다.
윤석열 대통령의 ‘내부 총질’ 문자를 노출해 비대위 체제를 불러온 권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 직무대행을 맡아서는 안 된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권 원내대표는 새 비대위 출범 이후 스스로 거취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권성동 비토론’이 거세질 경우 국민의힘이 새로운 원내대표를 선출해 혼란을 최소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안철수 의원이 이날 페이스북 글을 통해 “권 원내대표는 스스로 현명하게 판단해 구성원의 집단지성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즉시 여건을 만들어주셔야 한다”며 “새로운 원내대표를 뽑아 (당대표) 직무대행 체제로 돌아가야 한다”고 촉구한 것은 엄청난 파장을 일으켰다.
유력한 차기 국민의힘 당권주자이자 윤 대통령과 대선 전 단일화를 통해 ‘공동정부’에 합의했던 안 의원까지 사퇴를 촉구하면서 권 원내대표의 입지는 더욱 좁아졌다. 안 의원은 비대위 체제를 반대하면서 원내대표가 당대표를 한시적으로 겸하는 당대표 직무대행 체제를 해법으로 제시한 것이다.
윤상현 유의동 최재형 의원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권 원내대표는 스스로 사퇴해 당의 조속한 정상화를 위한 물꼬를 터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전국위원회 의장을 맡고 있는 서병수 의원이 권 원내대표의 사퇴를 주장한 것도 변수로 떠올랐다.
서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권 원내대표가 전국위 소집과 관련해 요청을 해왔지만 나는 응할 생각이 없다는 점을 밝혔다”고 전했다. 전국위 의장인 서 의원이 전국위 소집을 거부한다면 당헌·당규 개정과 비대위원장 선임을 의결하는 상임전국위와 전국위는 열릴 수 없다. 이럴 경우 조속한 비대위 출범을 공언한 국민의힘 지도부 구상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서 의원은 그러면서 “새로운 원내대표를 뽑은 뒤 그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 직무대행을 맡게 하는 것이 순리”라고 강조했다.
김태흠 충남지사도 페이스북에 글을 올리고 “당을 어렵게 만든 책임 있는 장본인은 권 원내대표”라며 “사태 수습의 출발점은 권 원내대표의 사퇴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친윤(친윤석열)계 핵심인 장제원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권 원내대표 사퇴론에 대해 “당 수습은 누가 하느냐”며 “새 비대위를 출범시키기로 했는데 사람이 없지 않으냐”고 반문했다.
권 원내대표도 새 비대위가 꾸려지기 전까지 사퇴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비대위 회의에서 “저는 한 번도 자리에 연연한 적이 없다”며 “원내대표로서 제 거취는 새로운 비대위를 구성한 이후 스스로 결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세환 강보현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