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지도부는 추석 연휴 전까지 새 비상대책위원회를 출범시키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새 비대위 출범을 위한 첫 단추로 당헌·당규 개정 작업에 착수했다. 국민의힘은 법원이 비대위 전환에 제동을 걸면서 지적했던 문제점들을 보완해 두 번의 실패를 겪지 않겠다는 분위기다.
그러나 ‘추석 전 비대위 출범’이 순조롭게 진행될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국민의힘은 권성동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 직무대행을 한시적으로 다시 맡아 비대위 전환을 추진한다는 ‘액션 플랜’을 세웠다. 그러나 권 원내대표의 거취 문제가 최대 변수로 부상하면서 임시 지도부의 리더십부터 흔들리고 있는 상황이다.
초유의 비대위원장 직무정지 사태를 수습해야 할 집권 여당이 끝없는 ‘자중지란’에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모양새다.
권 원내대표는 29일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당의 위기는 새로운 비대위 출범으로 마무리돼야 한다”며 “추석 연휴 전에 새로운 비대위가 출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서 신속하게 추진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직무정지 상태인 주호영 비대위원장을 제외한 8명의 비대위원들이 참석했다. 회의는 권 원내대표가 주재했다. 비대위원들은 만장일치로 권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 직무대행을 맡는 데 합의했다.
권 원내대표를 비롯한 국민의힘 원내지도부와 정점식·유상범·전주혜 의원, 김석기 사무총장 등은 이날 오전 비대위 회의에 앞서 사전 회의를 열고 당헌 개정안 성안 작업에 들어갔다.
당헌 개정안의 핵심은 비대위 전환을 위한 비상상황 요건을 규정한 ‘당헌 96조’다. 이 조항에 ‘선출직 최고위원 4명 혹은 3명이 사퇴하면’ 등 문구를 넣어 비상상황의 구체성을 강화할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힘은 30일에 긴급 의총을 열고 당헌 개정을 포함한 현안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이와 별도로 주 위원장은 법원의 직무정지 결정에 대해 제기한 이의신청 결과가 나올 때까지 직무정지 집행을 미뤄 달라는 취지의 집행정지신청서를 서울남부지법에 접수시켰다.
그러나 ‘속전속결’을 시도하는 국민의힘 지도부 앞에 난제가 수두룩하다. 당장 한시적인 ‘권성동 직무대행 체제’에 대한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다 법원이 브레이크를 걸었던 비대위를 다시 출범시키는 데 대한 정치적 부담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집권 여당의 초라한 모습에 대한 비판은 쏟아지고 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페이스북에 “양측 모두 상식과 순리가 아닌 억지와 집착으로 눈살 찌푸려지는 상황을 연출하고 있다”며 “그만들 해라. 둘 다 구질구질하다”고 썼다. 이번 사태를 유발한 이준석 전 대표와 ‘친윤’(친윤석열계) 세력을 겨냥해 일침을 놓았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 출근길 문답에서 국민의힘 상황과 관련해 “충분히 합리적인, 또 당과 국가의 장래를 위해서 합당한 결론을 치열한 토론을 통해서 잘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고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
정현수 이상헌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