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의원총회, 이준석 ‘해당 행위’ 추가 징계 촉구

입력 2022-08-29 04:08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지난 27일 대구 북구 DGB 대구은행파크 중앙광장에서 열린 ‘대구 떡볶이 페스티벌’을 찾은 시민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주호영 비상대책위원장 직무정지 사태를 수습 중인 국민의힘은 27일 의원총회에서 이준석 전 대표에 대한 윤리위원회의 추가 징계를 촉구하며 이 전 대표를 압박하고 나섰다. 그러나 이 전 대표는 직접적인 대응을 자제하며 ‘장외 여론전’에 주력하고 있다. 향후 국민의힘 움직임에 대응해 추가적인 법적 대응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국민의힘은 이번 사태의 책임을 이 전 대표에게 돌리며 전방위로 압박하는 모양새다. 의총에서 발표한 결의안에는 윤리위에 이 전 대표 추가 징계를 강하게 촉구하는 내용이 담겼다. 국민의힘 한 의원은 28일 “이 전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과 친윤(친윤석열)계 의원들을 겨냥해 ‘양두구육’ ‘사태를 주도한 절대자’ ‘신군부’ 등의 표현을 사용한 점은 사실상 ‘해당 행위’로 볼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윤리위가 이 전 대표에 대한 추가 징계에 나설 경우 당원권 정지 6개월 징계가 풀린 후 당대표 복귀를 노리는 이 전 대표의 계획이 틀어질 수 있다. 여기에 이 전 대표를 둘러싼 성상납 의혹 등에 대한 경찰의 수사 결과도 변수가 될 전망이다.

이 전 대표는 27일 경북 칠곡에서 성묘한 데 이어 28일 대구 달성에서 당원들을 만나는 등 장외 여론전을 지속하고 있다. 이 전 대표는 페이스북에서 “오늘은 저녁에 칠곡에서 나와서 달성군의 당원들과 함께 다사(달성군 다사읍)에서 만났습니다. 칠곡은 본가이고 달성은 외가지요”라고 밝혔다. 이어 “9시 뉴스 보면 또 코미디겠죠”라고 덧붙였다. 의총 결의안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피하면서 우회적으로 당 상황을 꼬집은 것이다.

이 전 대표 측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추가적인 법적 대응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법원이 비대위가 출범할 만한 비상 상황이 아니었다고 판단한 만큼 주 위원장뿐 아니라 비대위원들의 직무도 정지돼야 한다는 게 이 전 대표 측 입장이다. 결국 비대위 출범 전 최고위원회 체제로 돌아가 내년 1월 징계가 끝난 후 당대표로 복귀할 가능성을 높이려는 전략이다.

구승은 기자 gugiz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