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세종 대통령 제2집무실’ 건립 추진을 본격화한다. 공약 파기 논란을 불러왔던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내 제2집무실 마련 방안 무산과 관련해서는 현재 청사 1동에 있는 대통령 집무공간을 보완해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행정안전부는 국토교통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과 함께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대통령 제2집무실 건립 관련 계획을 28일 발표했다. 정부는 2025년 제2집무실 착공에 들어가 2027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통령 제2집무실 설치는 윤 대통령의 공약 사항으로 국정과제에도 포함돼 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지난 4월 제2집무실 설치와 관련해 3단계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는 정부세종청사 1동 내 집무공간 활용, 10월 준공 예정인 청사 중앙동 내 임시집무실 설치를 거쳐 최종적으로 2027년까지 제2집무실을 신축하겠다는 내용이었다.
국회 역시 지난 5월 말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특별법에 ‘대통령과 그 소속기관의 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행정중심복합도시에 집무실을 설치할 수 있다’는 조항을 신설해 제2집무실 설치 관련 법적 근거도 마련했다.
하지만 지난 7월 행안부가 중앙동 내 대통령 집무실을 설치하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공약 파기’ 논란이 일었다. 행안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1동에 대통령 집무공간이 충분한 규모로 갖춰져 있다”며 “중앙동에 다시 신축해도 규모 차이가 없는데 150억원이 든다”고 설명했다.
현재 1동 내 대통령 집무공간에는 국무회의장을 비롯해 수석회의실, 비서동 등이 갖춰져 있다. 행안부는 해당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대통령실과 협의해 소통 공간, 전자 결재 시스템 확충 등도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이와 함께 행복청을 중심으로 국무조정실, 행안부, 국토부 등이 참여하는 대통령 제2집무실 건립 추진단도 9월 중에 발족하고, 구체적인 건립방안 연구용역에 착수하기로 했다. 용역 과정에서 대통령실 등 관계기관 협의와 국민 의사 수렴 등을 거쳐 대통령 제2집무실의 기능·규모·위치 등을 결정할 예정이다.
정부는 2023년 상반기 기본계획 수립이 완료되면 즉시 설계에 착수할 수 있도록 올해 정기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설계비를 증액 추진하기로 당정 간 합의했다고도 강조했다.
정부 관계자는 “국회세종의사당 및 정부세종청사와의 연계성, 제2집무실 기능에 충실한 실용성, 최대한 국민과 소통 가능한 개방성 등 세 가지 원칙에 입각해 건립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