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중국과 공급망 협력을 위한 협의체를 가동한다. 민간 등 경제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한 ‘한·중 경제협력 교류회’도 매년 열기로 했다.
기획재정부는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와 ‘제17차 한 중 경제장관회의’를 열고 공급망 협력, 탄소중립 정책 교류 등 경제협력 방향을 담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전날 허리펑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주임과 화상으로 만났다. 한·중 경제장관회의가 열린 것은 2020년 10월 이후 약 1년 11개월 만이다.
양국은 향후 공급망 불안 등 문제가 생겼을 때 협력하는 채널인 ‘공급망 협력 조정 협의체(국장급)’ 신설에 합의했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매년 한·중 경제협력 교류회를 열기로 했다. 기업이나 지방 도시, 연구소 등 민간 교류를 활성화하자는 취지다. 양국 기업이 제3국에서 공동으로 진행 중인 사업에 대한 협력도 강화한다.
탄소중립 정책을 교류해 각국의 친환경 저탄소 발전에도 힘을 모으기로 했다. 미세먼지를 중심으로 이뤄졌던 정책 협력을 확장해 국제사회에서 기후·환경 분야 공조를 이어나가겠다는 구상이다.
양국은 또 문화산업 등 서비스산업 발전 관련 경험을 공유하고 관련 심포지엄 등 교류를 늘리기로 했다. 한국 정부는 게임·영상·방송·콘텐츠 등 문화 분야 발전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중국 측은 건강·노인 요양 등 생활 서비스 분야에서 협력을 제의했다.
추 부총리는 2030년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를 위한 중국 정부의 지지를 요청했다. 다음 한·중 경제장관회의는 내년 한국에서 개최키로 했다.
세종=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