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째 진전없는 남원 공공의대 설립, 실마리 찾나

입력 2022-08-25 04:06
남원시의회 의원들이 22일 국회 앞에서 남원 국립의전원 설립의 정당성과 시급성을 알리는 1인 시위를 연 뒤 사진을 찍고 있다. 남원시의회 제공

4년째 진전이 없던 전북 남원 국립공공의료대학원(공공의대) 설립 문제가 다시 동력을 되찾고 있다. 전북 정치권이 팔 걷고 나선데 이어 정부도 입장 변화를 보이고 있어 조만간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지 주목된다.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위원장은 지난 23일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안에 남원 공공의대 문제를 반드시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한 위원장은 “상임위 법안소위 단계부터 다시 시작하겠다”며 “논란이 되고 있는 의대 정원 확대 문제와 별도 처리를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민주당 김성주(전주병) 의원은 지난 22일 국회 정무위 전체회의에서 정부가 조속히 나설 것을 촉구했다. 이에 방문규 국무조정실장은 “현재 (남원 공공의대와 관련) 필수 의료인력을 확충한다는 방침 하에 의료계와 논의를 재개해 진행 중”이라며 “국립의전원 설립은 윤석열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 사업인 만큼 원만히 협의해 마무리 지을 것”이라고 답했다.

공공의대법을 발의한 국민의힘 이용호(남원·임실·순창) 의원은 보건복지위 위원들을 설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남원시의회 의원들도 22일부터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1인 시위에 나서 남원 국립의전원 설립의 정당성과 시급성을 알리고 있다.

남원 공공의대 설립은 2018년 서남대 폐교에 따른 대안으로 논의되기 시작됐다. 보건복지부와 남원시는 옛 서남대 의대 자리에 352억원을 들여 2022년 개교를 목표로 공공의대 건립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여당과 야당의 입장 차이가 크고 의사단체의 반발이 심해 관련 안건은 상임위조차 통과하지 못한 채 20대 국회에서 자동 폐기됐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