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포항·경주시와 25일 해오름동맹 상생협의회 실무협의회를 열고 기존 해오름동맹을 격상해 가칭 ‘해오름 연합시’ 설치를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해오름 동맹은 신라 문화권이 있는 울산·포항·경주가 3개 도시 공동 발전을 위해 2016년 결성한 행정협의체다. 실무협의회는 3개 지자체 고위급 공무원이 참석하며, 다음 달 예정된 상생협의회 정기회에 앞서 열리는 사전 회의다.
이번 실무협의회에서 눈에 띄는 안건은 ‘가칭 해오름 연합시 설치 방안 논의’다. 결합도가 다소 느슨한 현재 행정협의체보다 더 견고한 수준으로 연대하고자 울산·포항·경주가 본격적으로 머리를 맞대는 것으로, 3개 지자체 결합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 기대를 모은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지방선거 후보 시절부터 부·울·경 메가시티 추진에 부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그는 “울산은 아무 실익이 없다”며 “메가시티가 울산에 이익이 된다고 판단할 때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지방선거에서 승리한 김 시장은 비교적 빠르게 이 공약 실천에 나서고 있다.
이러한 울산의 정책 선회 배경에는 지자체 결합 과정에서 주도권과 실익을 갖겠다는 현실적인 의도가 작용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울산이 부산·경남과 결합하면 상대적으로 실익이 적은 반면 기초단체인 포항·경주와의 결합에서는 광역단체인 울산이 주도권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이제 논의를 시작하는 단계여서 해오름 연합시 추진이 내년 출범을 앞둔 ‘부울경 특별연합’처럼 특별지방자치단체 수준의 결합까지 갈 것인지, 또는 다른 형태의 결합 방식이 될지는 예측할 수 없다”며 “다만 3개 지자체가 더욱더 발전적이고 견고한 체계 구축을 위해 공동으로 노력을 시작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부·울·경 특별연합을 주도해온 부산시는 울산시의 이같은 행보와 관련, 상황 파악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