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여야가 윤석열정부의 인사 검증 문제와 대통령실 ‘사적 채용’ 논란 등을 놓고 정면충돌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검증에 관여한 인사들이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했고, 국민의힘은 문재인정부 당시 인사 논란을 거론하며 맞불을 놨다.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은 잇따른 국무위원 낙마에 대한 책임을 인정했다. 다만 민주당의 사퇴 요구는 일축했다. 또 ‘사적 채용’ 논란에 대해선 대통령실 직원을 공개 채용한 적은 없다고 적극 반박했다.
김영배 민주당 의원은 23일 국회 운영위 전체회의에서 박순애 전 부총리와 장관 후보자들 낙마 사례를 거론하며 김 실장에게 “대통령실 인사 검증의 책임을 누가 지느냐”고 물었다. 김 실장은 “굳이 말하자면 제가 져야겠죠”라고 답했다. 김 실장은 “사과하고 책임질 일이 있으면 마다하지 않겠다”고도 밝혔다.
김 실장은 이른바 사적 채용 의혹에 대해 “(대통령실) 직원이 500명 정도 되는데 제대로 챙기지 못한 분야도 있었을 것 같다”면서도 “저도 대통령실(근무)은 지금 5번째인데 과거에도 대통령실을 공개 채용한 사례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김 실장은 특별감찰관 임명과 관련해선 “국회에서 추천하면 100% 수용하겠다”며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김수흥 민주당 의원은 김 실장에게 ‘국정 전반 난맥상으로 인해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한 적이 있느냐’고 물었고, 김 실장은 “없다. 비서실 어떤 직원도 마음대로 사의를 표명할 권한이 없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제 거취는 스스로 결정할 자리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회의에선 야권이 비선 실세로 지목해 온 ‘건진법사’도 거론됐다. 김영배 의원은 김 실장에게 “건진법사 전성배를 아는가”라며 “대통령실에서 기업에 전성배를 조심하라는 워딩을 줬다고 하더라”고 물었다.
이에 김 실장은 “모른다. 그런 말을 처음 들었다”면서 “대통령실이 건진법사를 수사할 권한은 없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대통령실 참모들이 ‘인사 참사’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거세게 몰아붙였다. 박영순 민주당 의원은 “이 정도 사태가 되면 뒤에 계신 수석들이 문제를 더 키우는 데 일조한 것”이라며 “다 사표 냈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양금희 국민의힘 의원은 김정숙 여사 지인의 딸이 문재인정부 청와대에서 근무한 사실을 상기하며 맞불을 놨다.
김 실장은 국민대가 김건희 여사의 박사학위 논문 4편이 표절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결론 내린 것에 대해선 “국민대 전문가들이 일단 판정한 것”이라며 “제가 여기에 대해 말할 입장은 아닌 것 같다”고 선을 그었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의 ‘정치보복 수사’ 공세에 맞서 대통령실을 엄호했다. 홍석준 의원은 “문재인정부 때부터 이뤄진 수사에 대해 진실을 찾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정권 보복이란 것은 불가능하다”며 “워낙 보는 사람도 많고, 지금 이뤄지는 수사 중에 그런 사례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여야는 행정안전부 경찰국 신설을 놓고도 신경전을 벌였다. 김영배 의원은 송두환 국가인권위원장을 향한 질의 도중 경찰국 신설을 ‘시행령 쿠데타’라고 비난했다. 박형수 국민의힘 의원은 “경찰국 설치는 비대해진 경찰 권력으로 인한 인권 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라고 반박했다.
박세환 손재호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