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진 더불어민주당 대표 후보를 비롯한 비명(비이재명)계 의원들이 23일 ‘이재명 때리기’ 총공세를 펼쳤다. 당대표를 포함해 차기 지도부를 선출하는 8·28 전당대회의 마지막 경선지인 서울·경기 권리당원 투표를 앞두고 집중포화를 퍼부은 것이다.
특히 박 후보는 ‘권리당원 전원투표제’의 당헌 명문화 문제를 부각시키며 사실상 차기 당대표 자리를 굳힌 이재명 후보를 겨눴다.
민주당은 24일 ‘권리당원의 100분의 10 이상의 연서명으로 발의한 안건에 대해서는 전당원투표를 실시해야 한다’는 내용의 당헌 신설안을 중앙위원회 찬반 투표에 부칠 예정이다.
박 후보는 CBS라디오 인터뷰에서 “주요 사안에 대해서 표결을 하거나 전당원투표로 결정하게 되면 토론도 없이 찬반 투표로 모든 것이 결정나게 되는 상황이 된다”며 “민주당이 (이 후보 강성 지지층인) 개딸(개혁의딸) 정당이 될까 봐 무섭다”고 비판했다.
조응천 의원도 “히틀러와 나치는 독일의 국제연맹 탈퇴안을 국민투표로 통과시켰다”며 당헌 개정에 반대했다.
박 후보를 비롯한 비명계 의원 10여명은 국회에서 토론회를 열기도 했다.
3선의 이원욱 의원은 최근 호남 순회경선에서의 저조한 투표율을 거론하며 “광주 정신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내로남불’의 정점이 ‘이재명 계양을 셀프공천’”이라고 비난했다.
이 의원은 또 “권리당원 투표를 전대 의결보다 우선하도록 한 것이 민주주의냐”면서 “(중앙위원들이) 이 안건을 부결시켜달라”고 호소했다.
다만 비명계의 총공세는 이 후보의 승리가 확실시되는 당대표 선거의 판세를 뒤집기보다는, 최고위원 선거에 영향력을 행사해 ‘이재명 친정 지도부’ 구축을 막는 데 방점이 찍힌 것으로 보인다. 현재 최고위원 당선권인 친명(친이재명)계 박찬대 후보(5위)와 접전을 벌이고 있는 비명계 송갑석 후보(6위)의 역전을 위해 막판 ‘이재명 때리기’에 나섰다는 것이다.
송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22일 최고위원 후보직을 던진 윤영찬 의원은 이날 토론회에서 “이재명 팔아서 최고위원 되려는 후보들이 많아서, 그 스크럼에 금이라도 내고 싶어서 사퇴 의사를 던진 것”이라며 “저를 지지했던 분이라면 송 후보를 지지해달라”고 호소했다.
비명계 의원 20여명은 이날 24일로 예정된 중앙위원회 투표 연기를 지도부에 요청했다. 그러나 우상호 비대위원장은 이들의 제안을 사실상 거부했다.
이 후보의 부인 김혜경씨가 ‘법인카드 유용 의혹’ 사건 조사를 받기 위해 23일 경찰에 출석한 것을 둘러싸고도 시각차가 확연했다.
박 후보는 비명계 의원들의 토론회를 마친 뒤 김씨에 대한 질문을 받고 “이 후보의 여러 사법적 의혹들이 기소가 되고 재판에 부쳐졌을 때 어쨌든 민주당으로서는 많은 부담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후보의 ‘사법 리스크’를 우회 조준한 것이다.
반면, 친명계로 최고위원 선거에 출마해 박빙 승부를 펼치고 있는 박찬대 의원은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검찰공화국의 정치보복이 본격화했다”고 반박했다.
오주환 김승연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