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영훈 제주지사가 농지법 위반 사실을 인정한 행정시장 후보자들을 나란히 제주시장과 서귀포시장직에 임명했다. 앞선 도 산하 기관장 인사에서 과도한 보은인사 비판을 받던 상황에서 논란 속 시장 임명을 강행하면서 비판 여론도 커지고 있다.
오 지사는 23일 제주시장에 강병삼 후보자를, 서귀포시장에 이종우 후보자를 임명했다. 오 지사는 임명장 전달에 앞서 기자회견을 하고 “40대의 패기와 60대의 연륜이 조화를 이뤄 행복한 도민 시대를 열어갈 것”이라며 “선택에 대한 책임은 제가 짊어지고 가겠다”고 이해를 구했다. 그러나 임명이 불가피한 이유에 대해 설득력 있는 답변은 내놓지 못했다.
오 지사는 앞선 도 산하 기관장 인사에서도 10년 전 도정 최측근 인사였던 70대 전 공무원을 임명해 과도한 보은 인사라는 비판을 받는 등 취임 후 첫 인선이 줄줄이 논란 거리가 되고 있다.
행정시장에 임명된 이들은 각각 현직 변호사와 전 남제주군의회 의장을 지낸 인물로, 6·1지방선거 과정에서 현 지사를 지근거리에서 도왔다.
두 사람 모두 농지법 위반 의혹으로 인사청문회 전부터 논란이 됐다. 강 시장은 지인들과 경매 등으로 농지를 매입하고 경작을 하지 않아 농지법 위반과 부동산 투기 의혹이 제기됐다. 본인도 재산 증식을 목적으로 한 사실상 투기임을 인정했다.
이 시장은 농사를 짓지 않으면서 농지를 소유하고 농업공익직불금과 농민수당까지 부당 수령한 사실이 드러났다.
두 시장 후보자의 농지법 위반 의혹이 불거지자 시민사회단체와 정당에서 반발 성명이 잇따랐다. 김경학 제주도의회 의장은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이례적으로 입장문을 내 후보자들에 대해 책임 있는 자세를 촉구하기도 했다.
인사청문 결과 제주시장 후보자에는 최종 부적격 판정이 내려졌다. 도덕성 논란과 행정 경험 전무, 보은성 인사에 대한 도민사회 비판이 주된 이유였다.
서귀포시장 후보자는 적격 판정을 받았지만 고도의 도덕성을 갖추고 공직사회와 시민에 보여야 하는 직위라는 점에서 도덕성 논란에 아쉬움이 제기됐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