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2030년까지 어반루프, 해상택시, 15분 도시 조성 등을 통해 대중교통 중심 도시로 거듭난다.
부산시는 ‘부산 대중교통 비전 2030’을 마련해 본격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급변하는 교통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도보, 자전거, 퍼스널모빌리티(PM), 대중교통, 미래 모빌리티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통해 어디서나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전략으로 구성했다.
시는 어반루프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통해 40%대에 머물고 있는 부산의 대중교통 분담률을 2030년까지 60%로 끌어 올린다는 계획이다. 승용차 수송 분담률은 억제해 나가기로 했다. 지난해 말 기준 39.9%인 승용차 분담률이 45%를 넘으면 혼잡통행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시는 또 전국 최초로 모든 대중교통에 사용할 수 있는 ‘통합할인권’ 도입을 추진한다. 2030부산세계박람회 개최와 가덕도신공항 개항에 맞춰 차세대 급행철도시스템인 어반루프를 2030년 개통을 목표로, 2026년 착공한다는 계획도 내놨다.
부산, 울산, 경남의 교통 요충지를 연결하는 신교통수단인 ‘부산형 급행철도 시스템’(BuTX)을 2026년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해 추진하고, 오시리아 관광단지와 에코델타시티 지역을 자율주행차 시범운행 지구로 지정·운영하기로 했다.
첨단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교통 시스템인 부산형 마스(MaaS)를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내에 시범 운영하고 2026년에는 시 전역으로 확대한다. 또 비접촉식 요금 결제 시스템 도입과 스마트 교차로, 긴급차량 우선신호체계 등을 확대한다.
철도망 확충에 따른 교통수요·지형 변화와 15분 생활권 62곳의 특성을 반영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버스노선도 개편한다.
교통거점시설을 확대해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이고, 공유모빌리티 운영 지구를 15분 생활권마다 1곳씩 설치해 대중교통 접근성을 강화한다. 또 도심 생활형 자전거도로를 66.37㎞ 확충해 부산형 공유 전기자전거를 도입한다.
대중교통 서비스 범위도 확대한다. 올 하반기 수륙양용 버스 운행을 시작으로 해상택시, 해상버스 등 해상교통수단을 도입한다. 부울경 특별지자체 출범 시기에 맞춰 광역급행버스 운행도 추진한다. 저상버스 보급률을 29%에서 89%로 높이고, 시내버스 친환경 차량 비율도 80% 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