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상반기 대유행으로 국민에게 형성된 면역 수준이 올 가을 감퇴해 대규모 유행이 시작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정부 공식 자문기구는 재유행에 앞서 사회·경제 분야 지표체계를 확립할 것을 제안했다.
정기석 국가감염병위기대응 자문위원회 위원장은 22일 브리핑에서 “이르면 9월, 늦어도 12월 안에 국민의 평균적 면역 수준이 가장 낮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전망의 근거로는 점진적 면역 저하를 꼽았다. 통상적으로 면역을 획득하고 6개월이 지나면 감염 예방효과가 크게 떨어진다는 점을 고려할 때, 올해 3~4월에서 반년 뒤인 다음 달 이후가 고비라는 취지다. 방역 당국에 따르면 지난 3월 한 달간 확인된 확진자만 996만명이 넘었다. 정 위원장은 “(연내) 한 번의 큰 파도가 남았다”며 “10~11월 모든 사람의 면역이 일시에 떨어지는 시기가 오게 돼 있다”고 경고했다.
자문위는 근거 중심 방역의 기조로 재유행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코로나19 확산과 그에 따른 방역 조치가 사회·경제 분야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거시경제는 물론이고 국민의 교육, 정신건강, 삶의 질 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정량적인 관리 지표를 설정하고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같은 지표는 추후 상황을 예측해 방역 정책의 득실을 따질 때도 필요하다는 게 자문위 설명이다. 자문위 사회경제 분과 소속 홍석철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영국은 방역 정책의 경제성을 예측·평가하는 모형을 개발해 활용하고 있다”며 “(국내도) 감염병 확산의 사회·경제적 영향까지 평가할 수 있게 예측 모형을 고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5만9046명으로 집계됐다. 전주 같은 요일보다 3010명 줄어들면서 이틀 연속으로 전주 대비 감소세를 이어갔다. 위중증 환자는 전날보다 20명 늘어난 551명으로 파악됐다. 신규 사망자도 65명 나왔다. 입원 병상 가동률은 모든 중증도에 걸쳐 소폭 상승했다.
재유행 피해를 줄일 핵심 수단인 하반기 백신 접종 계획은 이달 말 발표를 앞두고 있다. 오는 24일과 25일 전문가 자문회의 및 예방접종전문위원회를 거쳐 다음 주 발표될 전망이다. 다만 당장 접종 대상군이 확대되거나 권고 수준이 높아질 가능성은 적다. 오미크론 맞춤형 개량 백신이 규제 당국 허가를 받고 공급 일정이 확정되면 그에 맞춰 일반 인구집단 접종이 시행될 것으로 관측된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