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유아기 때부터 디지털 교육을 강화하기로 했다. 유아 시기에는 스마트 패드 등 다양한 디지털기기를 활용한 놀이 중심의 교육을 진행하고, 초등학교 입학 후에는 본격적으로 정보수업을 듣는다. 첨단분야 인재를 양성하고 모든 국민의 디지털 역량을 높인다는 취지인데, 유아 단계에서 디지털기기 노출이 더 빈번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스마트기기 과몰입을 걱정하는 학부모들 사이에선 ‘만 5세 입학’에 이은 또 다른 ‘탁상행정’이란 비판도 나온다.
교육부는 2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등과 공동으로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을 발표했다. 초·중학교에서 코딩교육을 필수화하고 대학의 첨단분야 정원 규제를 풀어 올해부터 2026년까지 100만명의 디지털 인재를 육성한다는 내용이다.
정부는 디지털 분야 인력이 2026년까지 73만8000명가량 필요할 것으로 추산한다. 현재의 인력 양성 규모로는 49만명만 공급 가능하다. 교육부는 첨단분야 산업 성장 추세와 취업률 등을 고려해 100만명이란 목표를 설정했다고 설명했다. 향후 5년 동안 고졸·전문학사에서 16만명, 대졸(학사) 71만명, 석·박사 13만명을 양성할 방침이다.
정부는 유아교육부터 고등·평생교육까지 디지털 교육을 강화한다. 특히 유아 단계에서 디지털기기와의 접근성을 높이기로 했다. 교육부는 “유치원 교육과정 운영 시 디지털 기반 놀이환경을 구성하고 활용토록 지원한다”며 “디지털 기반 놀이환경 현장지원자료 및 온라인교육 콘텐츠를 개발 보급한다”고 밝혔다. 유아대상 인공지능 교육 자료도 보급하기로 했다. 유아에 따라서 한글보다 인공지능을 먼저 접할 수도 있는 것이다.
서울에서 미취학 아동인 두 딸을 키우는 고모씨는 “어차피 초등학교에 들어가면 미디어에 자동 노출되는데 국가에서 굳이 정책적으로 스마트기기를 쥐어주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말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번 방안을 마련하면서 유아 학부모 의견 수렴 과정이 있었는가’란 질문에 “없었다”고 답했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