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가 갯벌 세계자연유산보전본부 건립을 위한 공모를 앞두고 평가 기준표를 갑자기 변경해 공정성 논란이 일고 있다. 전북지역 정치권은 “특정지역을 염두에 둔 꼼수가 아니냐”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지난달 11일 갯벌 세계자연유산보전본부 건립지 공모 설명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해수부는 사업을 희망하는 지자체 관계자 등에게 평가 기준표를 배포했다. 이후 7월 22일부터 공모를 받아 10월 초 최종 적합지를 선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해수부는 한 달 가량 늦은 지난 16일 공모 계획을 발표하면서 처음에 공지했던 ‘공모 평가표’를 수정했다. 당초 평가기준에 없던 ‘세계자연유산 등재 노력 및 기여도’ 항목이 신설됐다. 또 면적 지표에서도 ‘최소 5만㎡ 이상’이었으나 ‘1만㎡ 이상 가능’으로 바뀐 데다 배점도 10점에서 5점으로 줄어들었다.
이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전북도의회 의원들은 22일 기자회견을 열고 “인류의 중요한 자연인 갯벌을 지키기 위한 보전본부 건립에는 절대 정치가 개입해 결정지어서는 안된다”며 “보전본부는 국내 유일의 유·무형, 자연 등 유네스코 세계유산 5관왕을 자랑하는 고창군에 건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도의원들은 지난 19일 논평에서도 “이번 해수부의 결정이 공모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해쳤다”며 공식 입장을 내놓으라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해수부 관계자는 “사전 설명회에서 ‘항목과 배점 등은 평가위원회 의견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내용을 분명히 전달했다”며 “7명의 평가 위원들은 특정 지역과 무관한 인사들로 선정했으며, 공정하고 투명하게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설명했다.
갯벌 세계자연유산 보전본부 건립 사업은 320억원 규모로, 전북 고창군을 비롯해 전남 신안군, 충남 서천군이 경쟁하고 있다. 각 지자체는 지난해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한국의 갯벌’ 중심지라는 상징성 때문에 치열한 유치전을 벌이고 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