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회가 경북 안동시 댐 물을 공급 받는 것으로 선회한 대구시의 맑은 물 하이웨이 정책을 지지하고 나섰다.
대구시의회는 22일 시의회 간담회장에서 대구시의 맑은 물 하이웨이 정책을 지지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성명서 작성에는 대구시의원 전체(32명)가 참여했다.
대구시와 마찬가지로 대구시의회도 새 구미시장이 맑은 물 나눔 협정의 요건 미비와 무효를 주장하며 협정을 무시했다고 비판했다. 이만규 대구시의회 의장은 “이번 협정파기에 단초를 제공한 것은 구미시장이고 공공재인 물을 볼모로 하는 행동을 더 이상 용납해서는 안 된다”며 “대구시민의 건강권과 생존권을 위해 상류공단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더욱 철저히 감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구는 1991년 낙동강 페놀 사건을 시작으로 먹는 물 문제로 많은 고통을 겪었고 구미와 갈등을 빚었다. 우여곡절 끝에 낙동강 구미공단 상류 해평취수장에서 맑은 물을 공급 받는 맑은 물 나눔 협정을 4월 구미시 등과 체결했다. 하지만 새 구미시장은 기존 협정이 구미시민과 시의회 동의 절차를 거치지 않는 등 실질적 실효성을 상실했다고 주장하며 협정 재검토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구시는 협정 해지 의사를 국무조정실 등 협정기관에 통보하고 구미시 대신 안동시와 안동댐·임하댐 물을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대구시의 협정 해지 방침에 알려지자 구미시의회는 “협정 파기 책임을 구미시에 떠 넘기고 있다”며 반발했다. 대구시가 협정 해지 수순을 밟자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대구·경북협의체를 구성해 주민 공감대가 형성될 때까지 소통해야 한다는 내용의 입장문을 내기도 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