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조경 전문가들의 축제인 제58차 세계조경가대회가 오는 31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개막해 3일간 이어진다. 77개국 조경가 7만여명의 네트워크인 IFLA(세계조경가협회)가 주최하는 이 대회는 해마다 대륙을 바꿔가며 열린다. 한국 개최는 1992년 경주 대회 이후 30년 만이다.
대회 조직위원장인 조경진(61·사진) 한국조경학회 회장은 21일 “전 세계 조경가들이 모여 사회와 도시, 지역을 위해 조경과 정원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논의하는 자리”라며 “기후위기, 팬데믹, 지역소멸 등에 직면한 한국의 도시와 지역들이 미래를 설계하는 데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대회 주제는 ‘리: 퍼블릭 랜드스케이프’(RE:PUBLIC LANDSCAPE)다. 조 위원장은 “조경의 공공성을 다시 생각해보자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서울대 조경학과 교수로 환경대학원 원장도 맡은 그는 최근 폭우에 대해 “기후가 변한 이유도 있지만 도시가 재난 상황을 감당하기 어려워졌다는 점도 유념해 봐야 한다”며 “콘크리트 같은 불투성 포장이 많아지고 도로, 건물 등 그레이인프라 위주로 개발이 진행돼 도시의 회복탄력성이 상당히 낮아졌다. 비가 왔을 때 물을 수용하고 가두는 역할을 하는 게 공원이다. 이번 폭우는 공원, 하천, 산, 정원, 농지, 텃밭 등 그린인프라의 중요성을 알려준다”고 말했다.
그는 “조경을 중심으로 도시를 새로 바라보는 관점이 필요하다”며 “모범사례인 싱가포르는 메가시티 차원에서 정원도시를 만들어 간다. 개발을 하면서도 자연을 잘 보존하고 수직정원이나 옥상정원, 텃밭 등을 많이 만든다”고 말했다.
김남중 선임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