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기술연구원 “역류 막아야… 물막이벽·개폐식 방범창 필요”

입력 2022-08-22 04:05
일본식 물막이벽. 서울기술연구원 제공

폭우로 인한 서울 관악구 신림동 발달장애 일가족 참변 재발을 막기 위해선 물막이벽과 개폐식 방범창, 역류방지 밸브 등의 기술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서울기술연구원은 반지하 주택을 비롯한 주거 취약 가구의 피해 방지 등 수해 피해 최소화를 위한 기술 방안을 서울시에 제안했다고 21일 밝혔다.

지하·반지하 주택의 경우 공동현관과 창문으로 인한 침수는 물론 정화조보다 낮은 주택 위치로 인해 변기 등에서도 빗물이 역류해 순식간에 침수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연구원은 일본의 침수 예방 물막이벽을 참고해 지역특성에 따라 도어형, 셔터형, 벽면형, 슬라이딩형의 물막이벽을 설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물막이벽은 현관과 창문에 설치하고, 물막이벽을 넘어 빗물이 들어올 때 사용할 수 있는 배수펌프 운영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배수펌프는 국내에 보급된 주거형 양수기뿐 아니라 일본에서 운영되는 차량형, 구역형 양수기 도입 필요성을 제기했다.

연구원은 역류하는 빗물을 차단하기 위한 역류방지 밸브도 바닥배수구와 세면대, 세탁기, 싱크대, 변기 등에 설치토록 했다. 신림동 일가족처럼 집이 침수됐음에도 고정된 방범창 탓에 탈출하지 못하는 경우를 막기 위해 개폐식·접이식 슬라이드 방범창을 설치해야 한다고 밝혔다. 연구원 관계자는 “지난해 기준 서울에 설치된 방범 CCTV 6만8000대를 활용해 상습침수구역에 대한 노면 수위 상승 및 위험 알림 경보 체계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원은 지하·반지하를 포함한 침수 취약가구의 경우 ‘침수 취약가구 공무원 돌봄서비스’가 있지만 대형 폭우에는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스마트 침수 감지 센서를 설치하고, 침수 취약지역 내 필로티 구조에 침수방지 시설을 설치하도록 건축물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재난 발생 시 피난 통로가 막히면 탈출하기 어려운 만큼 지하주차장과 출입구에 수문 등 침수 방지 시설도 필요하다.

폭우 시 팔당댐 방류 등으로 인한 강변북로·올림픽대로 상습 침수구간에는 오스트리아식 가변식 물막이벽이나 월류 방지 옹벽 설치 검토를 요구했다. 폭우 시 이들 구간이 통제되면서 극심한 차량정체를 빚고 있기 때문이다. 물웅덩이 없는 도로 구현을 위한 IoT 기반 도로관리 시스템 구축, 맨홀 뚜껑 자동잠금장치 등도 함께 제안했다. 임성은 연구원장은 “앞으로도 풍수해에 안전한 서울을 위해 수해 원인별, 현장별로 섬세한 기술적 해결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