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소득 끌어올린 손실보전금… 고소득 자영업자 혜택 컸다

입력 2022-08-19 04:04
지난 17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서울서부센터에서 직원들이 코로나19 피해 손실보상금 이의 신청자들의 증빙 서류를 확인하고 있다. 이의신청은 오는 31일 마감된다. 연합뉴스

2분기 가구 소득이 2006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자영업자, 소상공인에게 지급된 손실보전금 덕에 가계 평균 소득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렇지만 고물가 탓에 가처분 소득 중 지출에 쓴 돈의 비중은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22년 2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전체 가구(전국 1인 이상 가구, 농림어가 포함) 월평균 소득은 483만1000원으로 1년 전보다 12.7% 증가했다. 2006년 통계 집계 이래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근로소득(5.3%)과 사업소득(14.9%)이 모두 늘었는데, 이전소득(44.9%)이 유독 많이 늘어 전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을 끌어올렸다.


모든 소득 분위에서 소득이 증가했다. 특히 1분위(하위 20%) 소득이 112만6000원으로 16.5% 증가해 전체 분위 가운데 증가 폭이 가장 컸다. 60세 이상 고령자와 임시직을 중심으로 취업자 수가 늘면서 근로소득(47.3%)이 증가한 영향이다. 2분위(13.1%), 3분위(11.7%), 4분위(14.4%), 5분위(11.7%)도 가계소득이 늘었다.

그런데 전체 가계소득 증가를 견인한 공적이전소득(61.5%) 혜택은 고소득층이 많이 누린 것으로 나타났다. 1분위에서는 공적이전소득이 51만2000원으로 1년 전보다 14.2% 늘었는데, 같은 기간 5분위는 공적이전소득이 113만1000원으로 1년 전보다 165.4% 폭증했다. 4분위에서도 공적이전소득은 70만6000원으로 1년 전보다 82.7% 늘었다. 2차 추경의 소상공인 손실보전금이 주로 4~5분위 고소득 자영업자에게 쏠렸다고 짐작할 수 있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4분위였던 자영업자 가구가 손실보전금을 받고 5분위로 이동했을 수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실제 5분위 가구 가운데 자영업자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도 올라갔다. 5분위에서 근로자 외(자영업자·무직자) 가구 비중은 33.9%로 전년 동기(24.7%) 대비 9.2% 포인트 상승하며 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편 소득 분배 개선세는 4분기 만에 멈췄다. 5분위 소득을 1분위 소득으로 나눈 배율을 뜻하는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60배로 1년 전 같은 분기(5.59배)보다 0.01배 포인트 높아졌다. 이 배율이 올라갈수록 빈부 격차가 크고 분배 상황이 나쁘다는 의미다. 이 배율은 지난해 3분기부터 3개 분기 연속 분배 개선세를 나타냈다.

이 과장은 “손실보전금이 특정 자영업자 중심으로 가다 보니 지표가 소폭 올라갔다”고 말했다.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61만9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했다. 2분기 기준으로 2010년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지만, 물가상승 효과를 뺀 실질 소비지출 증가율은 0.4%로 지난해와 큰 차이가 없었다. 소비 지출이 5.8% 증가한 것은 대체로 물가가 올랐기 때문이고 가계가 씀씀이를 키운 것은 아니라는 의미다.

가령 교통 지출은 국제 유가 상승 등 영향으로 1년 전보다 11.8% 늘었는데 실질적으로는 2.8% 감소했다. 처분가능소득 중 소비지출에 쓴 돈의 비중(평균소비성향)은 66.4%로 2분기 기준 2006년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세종=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