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원전 수출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을 민관 합동 ‘원전수출전략 추진위원회’가 18일 출범했다. 추진위는 원전 업계에 연내 1조원 이상의 일감을 공급하고 원전 생태계 복원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주요 정책 실행을 맡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서울 종로구 무역보험공사 본사에서 원전수출전략 추진위 출범식을 갖고, 이창양 산업부 장관 주재로 첫 번째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추진위는 기획재정부·외교부·국토교통부 등 9개 관계부처와 한국전력·한국수력원자력·수출입은행 등 10개 공공기관, 무역협회 등 9개 민간 기관·전문가로 구성됐다.
추진위는 원전 산업 생태계 복원을 목표로 올해 안에 1조원이 넘는 일감·연구개발(R&D)·금융 지원을 원전 협력 업체에 집중적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긴급 일감 1306억원과 6700억원 규모의 R&D, 설비투자·경영 애로 해소 차원의 금융지원 3800억원 등이다. 이와 함께 터빈, 펌프, 부속품 등 원전업체가 참여 가능한 발전사 일감 제공도 추진하기로 했다.
원전 수주 국가별 여건과 환경에 맞는 ‘맞춤형’ 수주 전략도 마련한다. 원전 수출 유형과 국가 간 협력 이슈, 금융과 법률 등 주요 의제별로 전담 기관이 중심이 돼 전략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예를 들어 원전 노형 수출은 한전과 한수원이 맡고, 운영과 서비스는 한전 KPS 등이 맡는 식이다.
원전 수출 대상국과의 소통 체계도 강화한다.
체코·폴란드·사우디아라비아·네덜란드·남아프리카공화국·영국·필리핀·카자흐스탄 8개국 재외공관을 원전 수출 지원공관으로 지정하기로 했다. 이들은 현지 네트워크 구축과 수주 정보 파악, 한국 원전 홍보 등에 나서게 된다. 특히 원전 사업자 선정이 임박한 체코·폴란드에 대해선 원전 외 협력도 강화하기로 했다.
탈(脫)원전 정책 폐기를 내세운 윤석열 대통령은 원전 산업 육성과 수출을 독려하고 있다. 지난 17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선 “우리 원전과 기업의 해외 진출 및 세일즈를 위해 발로 직접 뛸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